[나이 들면서 알아야 할 약 이야기] <11> 피부연고제

[나이 들면서 알아야 할 약 이야기] <11> 피부연고제

입력 2015-10-11 17:50
업데이트 2015-10-11 19: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고는 눈 주위 바르지 말고 호전 안 되면 사용 중단을

가을철에는 아침과 저녁의 일교차가 10도 이상 크게 벌어지고 건조해 아토피 피부염, 건선 같은 피부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또 가을 햇볕은 여름보다 뜨겁지는 않지만 자외선 강도가 강해 피부 건강을 위협한다.

피부질환에 흔히 사용하는 치료제는 피부연고제다. 대부분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이어서 가정마다 한두 개씩은 있다. 그러다 보니 피부 질환이 생겼을 때 약 상자에 뒹구는 아무 연고제나 바르기도 한다. 하지만 피부 연고제마다 성분이 달라 잘못 바르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주의사항을 꼭 확인하고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항생제를 함유한 피부연고제는 상처부위의 2차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돕는다. 단, 계속 사용하다 보면 내성균이 생겨날 수 있어 치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만 발라야 한다. 넓은 부위에 바르면 전신 독성이 생길 수 있어 피부 손상 부위가 광범위하다면 연고를 바르기 전 의사나 약사에게 문의하는 게 좋다.

항진균제를 함유한 피부연고제는 손발톱 무좀, 백선, 어루러기와 같은 진균(곰팡이)성 피부질환에 사용하는 치료제이다. 증상이 개선되고서도 정해진 치료기간 동안 사용해야 한다. 백선이 있다면 질환이 있는 부위뿐만 아니라 그 주변에도 넓게 펴 바른다.

모든 피부연고제는 환부를 깨끗이 하고 수건으로 가볍게 닦고서 손보다는 면봉 등을 이용해 바르는 게 좋다. 또 피부 부위마다 약이 흡수되는 정도가 달라 적당량을 발라야 한다. 눈 또는 눈 주위에는 사용하지 말고 약을 바른 후에는 손을 잘 씻는다.

피부연고제를 바른 후 환부를 밀봉하기도 하는데, 이러면 그 부위의 온도와 습도가 올라가 약이 흡수되는 정도가 증가하고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의사의 지시에 따라 한다. 아이의 엉덩이 등에 약을 발랐다면 기저귀는 잠시 풀어놓는 게 좋다.

같은 피부 질환도 원인이 다를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되도록 의사의 진단을 받는다. 정해진 치료기간 동안 피부 연고제를 사용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오히려 악화하고, 가려움증이나 자극이 남는다면 사용을 중단한다. 약이나 화장품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사람은 연고제를 사용하기 전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는 게 좋다.

피부연고제를 사용하고 나서는 사용설명서와 함께 보관하고 개봉 일자를 적어둔다. 개봉하고서 오래된 연고제는 약효가 감소하거나 세균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크다. 색이 변하거나 이상한 냄새가 난다면 과감히 버리는 게 좋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10-12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