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7월 4일부터 1주일간 휴진”…아주대병원 “집단행동 안 해”

서울아산병원 “7월 4일부터 1주일간 휴진”…아주대병원 “집단행동 안 해”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6-17 20:55
업데이트 2024-06-17 2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 이어 ‘빅5’ 휴진 확산
아주대병원 “18일 집단 휴진 개별 판단”

이미지 확대
대한의사협회의 집단 휴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서울의 한 병원에 휴진을 알리는 안내문이 걸려있다. 2024.6.17. 도준석 전문기자
대한의사협회의 집단 휴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서울의 한 병원에 휴진을 알리는 안내문이 걸려있다. 2024.6.17. 도준석 전문기자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이 내달 4일부터 일주일간 휴진을 결의했다. 반면 아주대병원 교수들은 집단 휴진을 하지 않기로 결론내렸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은 17일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을 대상으로 향후 행동 방안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 대상자의 79.1%(292명)가 “7월 4일 휴진에 찬성한다”고 답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휴진 기간에 대해서는 “일주일 휴진 후 정부 정책에 따라 연장 조정”이라는 응답이 54.0%, “무기한 휴진”이 30.2%였다.

비대위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교수들 중 60.9%(225명)는 대한의사협회(의협) 주도로 의료계 전면 휴진과 의사 총궐기대회가 열리는 18일에 휴진을 하거나 연차를 내 진료를 보지 않는 등 일정을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위는 “설문 대상 중 진료를 보는 나머지 교수 164명 중에서도 136명(82.9%)은 ‘사정상 실질적인 휴진은 어려웠지만 휴진을 지지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반면 아주대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는 이날 아주대병원 대강당에서 전체 교수회의를 열고 “18일 전면 휴진에 단체 행동이 아닌 개별적 판단에 따라 참여 여부를 결정한다”고 결론내렸다.

앞서 비대위는 지난 10~12일 소속 교수 4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203명 중 약 56%인 114명이 18일 의료계 집단 휴진에 참여할 뜻을 표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다수 교수가 휴진 참여 의사를 밝혔지만 교수들은 집단 행동에 나서지는 않기로 했다. 비대위 측은 “단체 행동을 결의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휴진 또는 집회 참석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의협의 18일 집단 휴진에 이어 이른바 ‘빅5’로 불리는 대형 상급종합병원들의 휴진이 확산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및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으며 연세의료원 산하 세브란스 병원 3곳은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나선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