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음식물처리장 자진 격리 근무자 13명 31일만에 귀가

창원음식물처리장 자진 격리 근무자 13명 31일만에 귀가

강원식 기자
입력 2020-03-25 16:25
업데이트 2020-03-25 16: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자진해서 ‘격리 근무’에 들어갔던 경남 창원시 창원음식물자원화처리장 직원 13명이 격리근무를 끝내고 31일 만에 귀가했다.

창원시는 25일 음식물자원화처리장 직원들이 처리장 시설안에서 합숙근무를 이날 종료하고 출퇴근 근무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창원음식물자원화처리장 자진격리 근무자 13명 31일만에 귀가
창원음식물자원화처리장 자진격리 근무자 13명 31일만에 귀가
코로나19 사태가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번짐에 따라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시는 그동안 장기간 합숙 근무로 근무자들이 육체적 피로가 쌓이고 심신도 지쳐 더 이상 장기 격리근무를 하는 것이 힘들다는 판단에서 합숙을 끝내고 출퇴근 근무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이날 시설에서 합숙을 끝내고 나오는 직원들을 직접 맞이해 “기꺼이 희생을 감수한 직원들 덕분에 시민들이 안심하고 지낼 수 있었다”며 “정말 고생이 많았고 여러분들의 희생과 감사함을 잊지 않겠다”고 격려했다.

근무자들은 “격리 근무는 종료 됐지만 코로나19가 아직 종식되지 않아 여전히 걱정스러운 마음에 가족을 만나는 발걸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이들은 “출퇴근 근무로 전환하더라도 비상 매뉴얼에 따라 불필요한 외부 접촉을 피하고 개인 위생소독과 방역을 철저히 해서 그동안 격리근무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앞서 창원시음식물자원화처리장에 근무하는 대체 근무가 불가능한 전문 인력 13명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시설 가동 중단 등 만일의 사태를 막기 위해 지난달 24일부터 자발적으로 시설안에서 합숙을 했다. 소식을 전해들은 전국 각지 개인, 대학생, 여러 단체 등에서 건강식품, 도시락, 간식 등의 격려품과 응원 메시지를 보내 격려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