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출생아 또 ‘역대 최저’…49개월째 줄어든 대한민국

11월 출생아 또 ‘역대 최저’…49개월째 줄어든 대한민국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1-24 13:43
업데이트 2024-01-24 1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망자는 역대 최대…인구 49개월째 자연 감소

이미지 확대
26일 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 일부 요람이 비어 있다. 2023.12.26 연합뉴스 자료사진
26일 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 일부 요람이 비어 있다. 2023.12.26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11월 태어난 신생아 수가 역대 최저치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12월에도 감소세가 이어지면 연간 출생아 23만명 붕괴도 확실시된다. 반면 급격한 고령화로 사망자는 늘면서 인구는 49개월 연속 자연 감소했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3년 11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는 1만 7531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50명(7.6%) 줄었다. 이는 11월 기준 1981년 월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1만 7000명대를 기록한 것도 역대 11월 중 처음이다.

전체 월간 기준으로는 2022년 12월(1만 6896명), 2021년 12월(1만 7179명)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적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4월(1만 8484명)부터 8개월 연속 1만명대에 머물렀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태어난 누적 신생아 수는 21만 357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했다. 만약 12월 출생아가 1만 6428명보다 낮을 땐 23만명대마저 무너져 사상 처음으로 22만명대의 ‘저출산 쇼크’를 맞게 된다. 국내에서 유독 ‘연초 출산’을 선호하는 부부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12월 출생아 수도 크게 반등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지난해 11월 사망자 수는 3만 255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명(0.3%) 늘어났다. 이 수치 역시 같은 달 기준으로 통계 사상 최고치다. 통계청은 “2022년 11월은 코로나19로 사망자 수가 늘어난 측면이 있지만 지난해는 고령화 영향이 더 컸다”고 설명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두 배 가까이 웃돌면서 지난해 11월 전체 인구는 1만 2724명 자연 감소했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49개월째 자연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혼인 건수는 1만 6695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0건(4.4%) 줄어들었다. 코로나19로 미뤄진 결혼이 늘면서 지난해 1월(21.5%), 2월(16.6%), 3월(18.8%)에는 혼인 건수가 반짝 늘었다가 하반기부터 다시 줄어드는 추세다.

혼인 건수가 감소하면 출생아 수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저출산을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