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지구 상공 추락 순간 포착

인공위성 지구 상공 추락 순간 포착

입력 2011-09-22 00:00
업데이트 2011-09-22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 아마추어 천문학도가 고장난 미국 인공위성이 지구로 추락하는 장면을 포착해냈다고 영국 공영방송 BBC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BBC에 따르면 프랑스 파리 출신 티에리 르골은 지난 15일 북부 프랑스 상공을 통과하는 인공위성을 비디오로 찍었다. 무게가 6t에, 수명이 20년이나 된 이 비행체는 최근 궤도에서 벗어나 이달 25일쯤 지구 어딘가에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우주항공국은 이 초고층대기관측위성(UARS)의 추락으로 파편에 맞아 인명이 희생당할 확률이 3200분의 1이라고 말했다.

엔지니어인 르골은 지름이 약 35cm에 달하는 망원경을 장착하는 등 특수하게 고안한 카메라를 가지고 추락하는 인공위성을 촬영해 자신이 운영하는 천문학사진 사이트에 게시했다. UARS은 인류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는 북위 57도, 남위 57도 사이 어느 곳에라도 추락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미지 확대
미항공우주국(NASA)은 대부분 인공위성들은 지구에 닿기 전에 대기권에서 파괴되거나 타버린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인공위성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 26개가 대기권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살아남아 지구에 떨어질 것이라고 확인하기도 했다. 이 조각들은 가로400~500km에 달하는 지역에 쏟아질 수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연료 탱크 같은 인공위성의 부품들이 종종 떨어져 내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나사는 과학자들이 인공위성이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기 2시간 전에야 정확하게 어느 곳에 추락할 지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200분의 1이라는 위험 가능성은 나사가 목표로 잡고 있는 10000분의 1보다 높은 수치다. 그러나 나사는 우주에서 떨어지는 물체에 다칠까봐 노심초사하지 않아도 된다고 언급했다. 나사의 과학자 마크 매트니는 웹사이트 스페이스닷컴을 통해 ”지구상에서 인류가 거주하고 있는 부분은 아주 작다.”면서 “지구 표면의 대부분 지역은 사람들이 아예 살지 않거나 거의 살지 않는다. 우리는 인공위성 추락으로 인한 위험이 거의 없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UARS은 최근 30년 사이에 고장난 채 지구로 추락한 가장 큰 미국 인공위성 가운데 하나다. 1979년 추락했던 우주정거장 스카이랩이 무게가 15배 정도 더 나갔다. 전문가들은 자외선 방사로 달궈져 지구 대기가 팽창되는 바람에 UARS이 예상보다 일찍 지구로 추락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팽창은 대기가 우주에 있는 위성을 끌어당기는 힘을 늘려 대기권 재진입을 가속화 시킨다.

이번에 추락한 위성은 1991년 디스커버리 호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지구 대기권에 대한 연구가 주된 목적이었고, 부분적으로는 오존층 보호도 임무였다. 나사는 대기권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도 파괴되지 않고 지구로 떨어진 인공위성 파편들은 절대 만지지 말라고 경고하고, 또 파편을 발견하면 곧바로 당국에 신고하라고 촉구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