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카다라슈에서 유튜브로 생중계
文대통령 “인공태양은 꿈의 에너지”
2025년까지 설치 ‘최고의 기술 난도’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가 지어지고 있는 프랑스 카다라슈 현장 모습. ITER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7/28/SSI_20200728221509_O2.jpg)
ITER 제공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가 지어지고 있는 프랑스 카다라슈 현장 모습. ITER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7/28/SSI_20200728221509.jpg)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가 지어지고 있는 프랑스 카다라슈 현장 모습.
ITER 제공
ITER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핵융합연구소는 28일 오전(현지시간) ITER이 건설되고 있는 프랑스 카다라슈에서 ‘장치조립 착수 기념식’을 갖고 본격적인 장치 조립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ITER 유치국인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문재인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을 비롯해 중국, 인도, 일본, 러시아, 미국의 정상급 인사들이 영상 및 서면 인사를 전했다. 이날 행사는 전 세계에 유튜브로 생중계됐다.
문 대통령은 영상 축사를 통해 “인공태양은 거의 무한정 생산이 가능한 꿈의 에너지”라면서 “세계가 지혜를 모으면 인공태양이 인류의 미래를 밝게 비출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밤하늘의 별은 핵융합으로 빛난다. 지구를 지키는 길을 응원하고, 꿈을 현실로 만들어 가는 여러분을 응원한다”고 밝혔다.
![국제핵융합실험로 완성 조감도. ITER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7/28/SSI_20200728221607_O2.jpg)
ITER 제공
![국제핵융합실험로 완성 조감도. ITER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7/28/SSI_20200728221607.jpg)
국제핵융합실험로 완성 조감도.
ITER 제공
ITER 제공
ITER은 이처럼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핵융합에너지의 대량 생산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7개국이 공동 개발·건설·운영하는 세계 최대 핵융합실험로다. 10년간의 설계 과정을 거친 뒤 2007년부터 건설이 시작된 ITER은 2025년 조립을 마치고 2040년까지 핵융합발전 가능성을 실험하게 된다.
이번 장치 조립은 그동안 7개 회원국이 각자 개발, 제작한 핵심 품목들을 조립해야 하는 최종 단계다. 다만 엄청난 크기와 무게를 가진 품목들을 한 치의 오차 없이 조립, 설치해야 하는 최고 난도의 기술적 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은 1억도에 이르는 초고온 플라스마를 생성하고 ITER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공용기와 초고온 플라스마, 영하 269도에서 작동되는 초전도 자석 사이의 열 이동을 차단해 주는 열차폐체를 개발, 제작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20-07-2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