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환·장미란을 키운 힘 10㎝ 불균형까지 잡는다
겉으론 건장해 보이는 수영선수였다. 큰 키에 쭉 뻗은 팔·다리. 알맞게 발달한 근육까지… 부상도 없고 컨디션도 좋다고 했다. 완벽해 보인다. 그러나 흰 가운을 입은 박사는 “보이는 게 다가 아니다.”고 했다. 뭐가 문제일까.한국여자수영 대표팀의 정다례가 서울 태릉 한국체육과학연구원에서 미세근육을 측정하는 ‘센타르’에 올라 체력측정을 받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박사는 “속을 들여다보자.”고 했다. 겉에 있는 근육이 아닌 속에 있는 근육. ‘Inner musle’이란다.
일반적인 방법으론 측정할 길이 없다. 척추에 붙은 작은 근육들을 줄자로 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선수는 ‘센타르’라는 기계에 올라탔다.
센타르는 원래 척추 디스크 환자용 재활 기계다.360도 공간 회전한다. 척추 안쪽 근육을 강화시키는 데 쓰인다.
●체력 강화부터 심리치료법까지 연구
한국 스포츠의 ‘브레인탱크’ 한국체육과학연구원(KISS)에선 이 기계를 훈련용으로 응용했다. 간단하다. 버티는 시간과 힘을 보면 미세 근육의 발달정도를 간접 측정할 수 있다. A선수는 척추 좌우 근육의 대칭이 안 맞았다. 오른쪽은 강하고 왼쪽은 약했다. 그래서 수영 자세가 미세하게 불안정했다. 체격에 비해 기록도 들쭉날쭉했다. 코치들은 원인을 몰랐다. 이제 원인은 밝혀졌고 훈련 처방만 만들면 된다. 지난 15일 수영 국가대표 선수들이 태릉선수촌 KISS에 모여 체력 측정하는 장면이었다. 가운 입은 박사는 수영 담당 송홍선 연구원이었다.
한국 스포츠 발전 뒤엔 KISS가 있다.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 이후 집중 조명을 받았다. 박태환과 장미란의 금메달 획득에 큰 도움을 줬다. 당시 송 연구원은 박태환의 좌우호흡과 스트로크 속도 변화를 측정했다. 가는 실과 카메라를 이용해 컴퓨터로 실시간 분석했다. 미세한 불균형까지 잡아내기 위해서다. 24주 훈련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장미란을 담당한 이는 문영진 연구원이었다. 근전도 분석법을 이용했다. 정밀 테스트를 통해 오른 다리가 뒤로 10cm정도 빠진다는 걸 알아냈다. 오른 다리와 왼 다리 균형이 안맞아서다. 잘못된 동작을 고치기 위해 1년여를 매달렸고 올림픽 직전 좌우 균형을 이뤘다. 이런 작업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홍콩 동아시아대회. 볼링에서 메달이 쏟아졌다. 금메달만 6개였다. KISS의 공이 컸다. 볼링은 정신력의 스포츠다. 결정적인 순간에 흔들리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다. KISS는 ‘정신력 배양훈련 프로그램’을 내놨다. 자기최면과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을 활용했다. 선수들은 큰 대회에서도 동네볼링장 온 듯 여유로웠다.
●시설이나 지원은 열악 그 자체
성과는 화려하지만, KISS를 둘러싼 환경은 열악하다. 한 연구원은 “언제까지 이런 성과를 낼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했다. 장비는 모자라고 시설은 낙후됐다. 관심은 크지만 지원은 적다는 얘기다.
한·중·일 세 나라 체육연구원만 비교해도 답이 나온다. 일본 JISS엔 저산소 훈련시설 등 각종 첨단 장비가 가득하다. 인체공학, 스포츠생리학, 의학 시설도 함께 갖추고 있다. 중국 CISS도 3차원 영상분석 시스템 등 기기에서 뒤지지 않는다. 예산과 규모는 다른 두 나라를 압도한다.
KISS 성봉주 연구조정팀장은 “우리는 내세울 만한 시설이나 기기가 없다.”고 했다. “웬만한 대학연구소보다 못하기 때문에 사실 부끄럽다.”고도 했다. 30년된 건물은 문화재관리국에 빌려 쓰고 있다. 그나마도 오는 7월이면 임대기간이 끝난다.
그래도 의지에 불탔다. 성 팀장은 “환경은 열악해도 우리만의 장점이 분명히 있다.”고 했다. KISS와 체육현장 사이의 끈끈한 신뢰다. “항상 현장을 다니며 코치들과 상의합니다. 코치들도 우리에게 편하게 도움을 청하고요.” 성 팀장이 자신 있게 웃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1-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