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누구도 못이룬 역사 美·日 언론 “세계新”

[프로야구] 누구도 못이룬 역사 美·日 언론 “세계新”

입력 2010-08-16 00:00
수정 2010-08-16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대호 기록의 의미

엄밀하게 말하면 세계기록이라고 표현하기 어색하다. 미국 메이저리그 기록을 깼다고 표현하는 것도 이치에 맞진 않다. 이대호의 9경기 연속 홈런 기록. 한국 프로야구 리그의 기록일 뿐이다. 엄연히 별개 리그의 일이다. 한국 리그와 메이저리그 사이 수준차도 감안해야 한다. 이대호의 기록은 한국야구위원회(KBO) 공식 기록집에 등재될 뿐이다. 야구엔 전 세계 프로야구 기록을 관장하는 단일 조직이 없다.

이미지 확대
이승엽의 한 시즌 56홈런 기록 때도 마찬가지였다. 국내 언론은 아시아신기록이라고 크게 썼다. 그러나 일본프로야구기구(NPB)는 “축하한다.”는 메시지를 보내왔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메이저리그 사무국도 일본 오 사다하루의 통산 868홈런을 공식 기록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저 다른 리그 기록이다. 굳이 행크 에런(755홈런)과 비교할 필요가 없다. 당연하다. 그게 이치에 맞다.

그러면 이대호의 홈런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한국 밖에선 관심 없는 우리만의 기록일까. 결론은 ‘아니오.’다. 의미가 있다. 일본과 미국 기록을 ‘깼다’고 표현하기는 무리다. 같은 리그서 뛰어야 가능한 표현이다. 그러나 한국-미국-일본의 어떤 프로야구 선수도 못한 일을 해낸 건 사실이다. 야구란 종목이 만들어지고 각국 프로리그가 시작된 뒤, 단 한명도 못 이룬 새기록을 만들어 냈다. 리그와 국가와 선수 수준을 떠나 전 세계 야구사에 기록될 사건이다.

그래서 해외언론도 반응했다. 일본 언론은 “일본-미국 선수들이 못해낸 기록을 이대호가 세웠다.”고 보도했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MLB.com)도 “한국 이대호가 ‘세계신기록’을 세웠다.”고 했다. 야구 본고장 미국에서도 ‘세계신기록’이란 표현을 썼다.

야구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해한다. 리그와 수준을 떠나 특정 기록을 ‘연속’으로 이어가는 게 얼마나 어려운가를. 야구인들이 칼 립켄 주니어의 2632경기 연속 출전 기록에 그토록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다. LG 김기태 2군감독은 “보통선수들에겐 9경기 연속 안타도 쉽지 않다.”고 표현했다.

리그가 달라도 타자들이 느끼는 중압감은 같다. 연속 홈런 기록을 이어가기 위해 요구되는 집중력은 동일하다. 현재 이대호는 전 세계 타자 가운데 가장 집중력과 정신력이 뛰어난 타자다. 이건 누구도 부인 못할 사실이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8-16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