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피겨 첫 외국인 국가대표 코치 영입

한국피겨 첫 외국인 국가대표 코치 영입

입력 2011-09-07 00:00
업데이트 2011-09-07 13: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4년 소치 겨울올림픽과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을 대비해 한국 피겨스케이팅 역사상 처음으로 외국인 코치가 국가대표 선수단 육성에 나선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선수들의 경기력을 끌어올리고 꿈나무 선수들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달 말 러시아 출신 세르게이 아스타셰프(47) 코치와 계약했다고 7일 밝혔다.

아스타셰프 코치는 1983년부터 러시아와 핀란드, 미국 등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숱한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길러낸 주인공이다.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과 1998년 나가노 올림픽 아이스댄스 금메달리스트 옥사나 그리추크(러시아), 2006년 토리노 올림픽 아이스댄스 금메달리스트 로만 코스토마로프(러시아) 등이 아스타셰프 코치의 손을 거쳤다.

일본 피겨의 간판스타인 아사다 마오(21)의 코치로 한국에서도 유명한 타티아나 타라소바(러시아) 코치와 함께 선수들을 지도하기도 했다.

국가대표팀에서 아스타셰프 코치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아스타셰프 코치는 남녀 싱글 유망주 선수들을 지도하며 이들에게 부족한 스케이팅 기술을 전수할 계획이다.

선수들의 국내 개인 코치들과 별도로 스케이팅 기술 전문 코치로 힘을 보태는 방식이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국제대회에서 한국 선수들은 늘 스텝 시퀀스에서 높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면서 “스텝 기술을 전문적으로 가르칠 이가 필요하다는 현장 지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7일 태릉실내빙상장에서 아스타셰프 코치로부터 처음 지도를 받은 김민석(18·수리고)은 “스텝 훈련을 시키면서 스케이팅의 속도와 힘을 특히 강조하더라”면서 “기존에 배우던 방식과 다른 면이 있지만 장점을 내 것으로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스타셰프 코치는 또 2018년 평창 올림픽을 앞두고 한국 피겨스케이팅을 균형있게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국내에도 과거에는 아이스댄스 선수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그 명맥이 끊긴 상황이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해외 지도자 영입을 통해 피겨스케이팅 전 종목에서 균형적으로 선수를 양성할 것”이라며 “2014년 소치 올림픽부터 피겨 팀 경기가 채택되는 만큼 평창 올림픽에서는 전 종목에 출전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빙상연맹은 이달 하순 아이스댄스 선수를 공개 선발한 뒤 10월부터 아스타셰프 코치의 지도 아래 집중 훈련을 벌일 계획이다.

아스타셰프 코치는 “한국의 피겨 열기가 높은데다 빙상연맹의 노력에서 진정성이 보여 한국에 오기로 결정했다”면서 “김연아를 통해 한국 피겨의 미래를 봤다. 개인 코치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해 소치와 평창 올림픽에서 본선에 진출하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