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들 컨디션 좋아 금메달 70개도 가능”

“선수들 컨디션 좋아 금메달 70개도 가능”

입력 2010-11-13 00:00
업데이트 2010-11-13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기흥 선수단장

트레이닝복을 입은 50대 아저씨는 분주했다. 여기저기 지나가는 선수들을 일일이 붙잡았다. 그러곤 질문 세례를 던졌다. “잠자리는 편안하냐. 음식은 입에 맞느냐. 몸은 괜찮으냐.” 하숙집 주인의 전형적인 멘트였다. 그런데 아니다. 광저우 아시안게임 현장의 이기흥 선수단장 모습이다.

●“日 잡는 中 텃세 우리에겐 약될 것”

이미지 확대
이기흥 선수단장
이기흥 선수단장
대회 개막식이 열리는 12일에도 이 단장은 평소처럼 바빴다. 선수촌 근처 패스트푸드점 앞에서 서성댔다. 햄버거를 사러 온 선수들에게 부탁하고 있었다. “가끔씩 햄버거를 먹더라도 되도록이면 선수촌 식사를 하면 안 될까.” 이 단장은 “이런 게 내 임무 아니겠느냐.”고 했다. 하숙집 주인아줌마 같은 역할.

이 단장은 “광저우에 도착한 뒤 매우 기분이 좋아졌다.”고 말했다. 무슨 말일까. 이유가 있을 테다. 이 단장이 설명했다. “목표 금메달 수를 늘렸다. 국내에서는 65개 정도 얘기했는데 잘하면 70개까지도 가능할 것 같다.”고 했다. 애초 선수단은 결승에 오를 종목을 155개에서 160개 정도로 계산했었다. 이 가운데 65개 종목을 금메달 획득 가능으로 분류했다. 나머지 숫자는 자동으로 은메달이 된다.

그런데 사정이 달라졌다. 이 단장은 “여기 와서 우리 선수들 컨디션이 급격하게 좋아지고 있다. 환경이나 날씨가 우리 선수들과 궁합이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이유도 있다. “예상보다 중국의 텃세가 더 거세다는 점도 오히려 유리하게 작용할 거 같다. 중국이 일본의 메달 수를 많이 잠식할 걸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계산대로 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확실한 건 한국 선수단 분위기가 좋다는 점이다.
이미지 확대
한국선 수단 ‘ 위풍당당’ 입장
한국선 수단 ‘ 위풍당당’ 입장 기수 윤경신(오른쪽)을 앞세운 한국선수단이 12일 광저우아시안게임 개회식에서 손에 든 태극기를 흔들며 45개 참가국 가운데 16번째로 입장하고 있다. 4회 연속 종합 2위를 목표로 내건 한국은 대회 사상 최대 규모인 41개 종목, 1013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광저우 연합뉴스


●“선수들의 땀과 노력 기억해 달라”

이 단장은 “금메달 수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모든 참가 선수들의 땀과 노력이다. 그 점을 봐 달라.”고 했다. 모든 선수들을 아울러야 하는 건 선수단장의 숙명이다. 이 단장은 “4년 이상 고생해 온 비인기 종목 선수들을 보면 마음이 아플 때가 많다.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낸 선수들의 노고를 모두 기억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실제 이른바 ‘비인기 종목’이 없다면 국제대회에서 한국의 우수한 성적도 불가능하다. 한국에서 ‘장사가 되는 종목’은 사실 몇 안 된다.

이 단장은 지난 10월 아시안게임 선수단장에 임명됐다. 그 이후 정신없이 보냈다.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선수촌에서 생활한 날도 셀 수 없다.

어느새 집에선 ‘나쁜 아빠’가 돼 버렸다. “원망도 많이 듣지만 그래도 잘하고 오라고 응원해 주더라고요. 선수들이 잘해야 저도 좋은 아빠로 복귀할 수 있을 텐데요.” 하숙집 주인 닮기를 원하는 이 단장의 마지막 바람이었다.

광저우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11-13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