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 선발 아드리안 샘슨이 지난 12일 인천SK행복드림 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전에서 0-1로 뒤진 5회 외야수 민병헌이 호수비로 실점을 막아내며 이닝을 끝내자 두 팔을 벌려 화답하고있다. 김도훈 기자 dica@sportsseoul.com](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15/SSI_20200915172456_O2.jpg)
![롯데 자이언츠 선발 아드리안 샘슨이 지난 12일 인천SK행복드림 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전에서 0-1로 뒤진 5회 외야수 민병헌이 호수비로 실점을 막아내며 이닝을 끝내자 두 팔을 벌려 화답하고있다. 김도훈 기자 dica@sportsseoul.com](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15/SSI_20200915172456.jpg)
롯데 자이언츠 선발 아드리안 샘슨이 지난 12일 인천SK행복드림 구장에서 열린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전에서 0-1로 뒤진 5회 외야수 민병헌이 호수비로 실점을 막아내며 이닝을 끝내자 두 팔을 벌려 화답하고있다. 김도훈 기자 dica@sportsseoul.com
올해 초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스토브리그’에서 백승수(남궁민 역) 단장은 리빌딩의 첫 걸음으로 프랜차이즈 스타 임동규(조한선 역)를 내보내는 선택을 한다. 반발하는 직원들을 불러 모아놓고 백 단장은 “임동규는 순위 경쟁 때 힘을 못내는 선수”라며 “꼴찌가 확정된 다음에 홈런을 펑펑 터뜨리는 선수가 왜 필요하느냐”고 설명한다. 스탯관리형 선수에 대한 지적이다.
프로야구에서 ‘임동규형 외국인 선수’도 자주 접할 수 있다. 순위 싸움이 치열할 때 힘을 못 내다가 순위 싸움에서 멀어진 뒤에야 힘을 내는 유형의 선수다. 갈수록 좋아지는 성적에 이들을 향한 평가도 ‘드디어 본모습을 찾았다’는 것부터 시작해 ‘다음 시즌도 잘할 것’이라는 희망찬 기대가 따른다.
지난해 채드 벨(한화 이글스)이 그랬다. 채드 벨은 7월까지 평균자책점(ERA) 4.15로 기대에 못 미쳤지만 8월 3경기 2승 17과3분의2이닝 ERA 2.04의 성적을, 9월 5경기 4승1패 36이닝 ERA 2.00의 성적을 남겼다. 덕분에 한화는 역대 처음으로 ‘외국인 10승 듀오’를 가지게 됐고 채드 벨은 재계약에 성공했다. 불행하게도 채드 벨의 올해 성적은 좋지 않다.
![인천SK행복드림구장에 붙은 임동규(조한선 역) 사진. 인천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15/SSI_20200915175320_O2.jpg)
![인천SK행복드림구장에 붙은 임동규(조한선 역) 사진. 인천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9/15/SSI_20200915175320.jpg)
인천SK행복드림구장에 붙은 임동규(조한선 역) 사진. 인천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벤 라이블리(삼성 라이온즈) 역시 ‘임동규형 선수’ 대열에 합류했다. 라이블리의 9월 성적은 2승 ERA 0.60이다. 두 달 가까운 부상 이탈로 팀의 아픈 손가락이었던 라이블리는 7월 복귀 후에도 기대에 못 미쳤지만 최근 경기만 보면 재계약하고 싶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허삼영 감독은 지난 13일 “마음가짐이 달라졌다. 좌우보단 높낮이에 포인트를 주고 운영하고 있다”며 부활을 반겼다.
한국무대 4년차 제이미 로맥(SK 와이번스)은 드라마의 무대가 됐던 문학구장을 홈으로 쓰고 팀의 중심타자라는 점에서 임동규와 가장 닮아 있다. 로맥은 7월까지 0.251의 타율로 기대에 미치지 못해 에이징 커브의 우려가 따랐지만 8월 타율 0.315와 홈런 5개, 9월 타율 0.326과 홈런 4개로 무서운 타자로 변신했다. 홈런도 최정에 이어 팀내 2위다. 그러나 올해 SK에게 가을야구는 너무나 멀다.
코로나19로 올해 마이너리거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프로야구 구단들이 선수 영입할 수 있는 폭도 좁아졌다는 의미다. 꾸준히 리스트업해온 선수들은 있지만 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할 기회가 없다. 1년을 쉰 선수의 기량이 어떨지는 구단으로서도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후반기 반짝 스타 ‘임동규형 외국인 선수’의 운명 역시 알 수 없다. 후반기 성적이 좋으면 당연히 내년 성적에 대한 기대감도 뒤따른다. 대체 선수를 구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구단들이 안전한 선택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후반기 성적이 좋은 외국인 선수의 재계약 가능성이 그리 낮지만은 이유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