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영원한 맏언니 600경기 출전합니다

‘우리’의 영원한 맏언니 600경기 출전합니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19-03-07 22:44
업데이트 2019-03-08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 여자농구 사상 최다 출전 신화 쓰는 우리은행 임영희

이미지 확대
임영희. 우리은행 위비 홈페이지 캡처
임영희.
우리은행 위비 홈페이지 캡처
“데뷔할 때만 해도 40세까지 운동할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죠.”

임영희(우리은행)는 한국 나이로 올해 마흔 살이다. 8일 OK저축은행과의 정규시즌 경기에서는 여자프로농구 최초로 600경기 출전의 대기록을 세우게 된다. 2위인 신정자(586경기), 3위 변연하(545경기)는 모두 은퇴했으며 4위 곽주영(35·신한은행·516경기)과도 차이가 꽤 벌어져 한동안 깨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국 여자 농구에 기라성 같은 스타들이 많았지만 그중에서도 임영희는 후배 선수들의 부러움을 잔뜩 사고 있다. ‘영희 언니만큼만 뛰면 좋겠다’는 후배들이 꽤 있다. 40세까지 건강한 몸을 지닌 채 리그 정상의 기량을 유지하는 것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600번째 경기 때는 우리은행 후배들 모두가 등에 ‘임영희’라고 적힌 특별 유니폼을 입고 경기에 나서며 축하와 존경의 뜻을 전달할 계획이다.

임영희는 7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요즘 내가 진짜 오랫동안 농구를 했다는 생각이 든다”며 “처음에 프로 생활을 시작할 때는 몇 살까지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30대 초반까지만 해도 길다고 여길 때도 있었는데 지금까지 왔다”고 말했다. 이어 “600번째 경기를 앞뒀지만 아직은 실감이 안 난다. 평소처럼 준비를 하고 있다”며 “내일(8일) 600경기 출전 관련 행사가 있으면 그때 좀 체감할 것 같다. 그래도 울지는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임영희는 대기만성형 선수라고 불린다. 마산여고를 졸업한 뒤 1999년 신세계에서 프로무대에 데뷔했다. 처음에는 평범한 선수였지만 2009~10시즌 우리은행으로 이적하고, 2012년 부임한 위성우 감독과 만나면서 기량이 만개했다. 우리은행에 와서는 올 시즌만 빼고 매년 평균 30분 이상씩 뛰고 있고 평균 득점도 2010~11시즌만 빼고 매번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2012~13시즌부터 우리은행이 통합 6연패를 일구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다. 599경기 동안 누적 출전시간 1만 5746분 35초(역대 6위), 5232득점(역대 11위), 1433어시스트(역대 9위), 리바운드 1784개(역대 18위)를 기록했다.

임영희는 “원래는 붙박이 주전도 아니었고 우리은행으로 이적한 초반에는 팀 성적이 안 좋아서 꼴찌도 여러 번 했다”며 “그런 힘든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게 더 뜻깊다”고 말했다. 이어 “몸관리를 어떻게 하냐는 질문을 엄청 많이 받는데 특별한 것이 전혀 없다. 나이가 많기 때문에 잠을 많이 자려고 한다. 밤에 8시간씩 자고 낮잠을 1시간 반 정도 더 잔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다음 시즌에도 코트에서 뛰는 임영희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은퇴에 대비해 올 시즌 우리은행에서 플레잉코치를 겸하기도 했다.

“2~3년 전부터 매년 1년만 더 하자고 하다가 지금까지 왔네요. 아직 플레이오프도 남았으니 일단은 거기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시즌 후에 또 엄청 고민해 봐야겠네요.”

임영희의 600번째 경기 하프타임에는 그동안의 활약상을 담은 영상이 경기장에 상영된다. 관중들에게 특별 유니폼 100벌을 나눠 주며, 경기가 끝난 뒤에는 임영희의 팬사인회도 열린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9-03-08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