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약판에 스프링 내장해 탄성 결정… ‘후크의 법칙’ 이용 힘껏 도약 연기를
15일 국제수영연맹(FINA) 세계선수권대회 다이빙 경기가 열린 광주 남부대 시립국제수영장의 도약판(스프링보드) 모습. 도움닫기를 높이 할 수 있도록 스프링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톱니바퀴가 보인다.
스프링보드 종목은 선수가 수면에서 규정 높이에 설치된 도약판(스프링보드)에서 도움닫기를 한 뒤 뛰어올라 연기를 펼치는데, 이때 도약판을 얼마만큼 박차고 뛰어오를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높이 오를수록 연기할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플라스틱을 입힌 나무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도약판의 탄성을 잘 활용해야 한다. 길이는 480㎝, 폭은 51㎝다.
한쪽 끝이 고정되고 중간 지점에 지렛대가 받치고 있는 스프링보드의 탄성은 내장된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반발력(탄성)은 누르는 힘에 비례한다는, 이른바 ‘후크의 법칙’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탄성은 도약판의 길이에도 좌우된다. 긴 플라스틱 막대기 한쪽 끝을 손으로 잡고 튕길 때가 짧은 막대기를 튕길 때보다 더 많이, 더 쉽게 움직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다이빙 선수의 스프링보드 탄성 선호도는 남자와 여자가 다르고, 몸무게에 따라서도 제각각이다. 스프링의 장력이 일정한 상황에서 적절한 도약을 위해 스프링보드의 길이 조절이 필요한데, 이는 지렛대의 이동에 의해서 가능하다.
지렛대와 연결된 지름 35㎝의 흰색 톱니바퀴를 앞뒤로 돌리면 최대 61㎝까지 지렛대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누르는 힘이 변화하고 탄성도 달라진다. 선수가 다이빙 동작을 갖추기 전 톱니바퀴를 발로 돌리는 동작은 자신의 선호하는 스프링보드의 탄성을 맞추는 작업이다. 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몸무게의 개인별 편차가 큰 남자 선수들의 경기에서 더 많이 볼 수 있다.
글 사진 광주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9-07-16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