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전 주심에 테요 배정
경고·퇴장 판정 많아 양국 부담
![파쿤도 테요(왼쪽) 심판. AP 뉴시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01/SSI_20221201181254_O2.jpg)
AP 뉴시스
![파쿤도 테요(왼쪽) 심판. AP 뉴시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01/SSI_20221201181254.jpg)
파쿤도 테요(왼쪽) 심판.
AP 뉴시스
AP 뉴시스
포르투갈의 공격을 온몸으로 막아 내야 하는 한국 대표팀에도 걱정스러운 심판 배정이지만 포르투갈에 더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는 지난달 24일 스위스와 카메룬의 카타르월드컵 조별리그 G조 1차전에서 주심을 맡아 스위스 선수 2명과 카메룬 선수 1명에게 경고 카드를 내밀었다.
이미 포르투갈은 2승(승점 6)으로 조 2위를 확보한 상태라 무리할 이유는 없다. 여기에 부상 선수가 셋이다. 갈비뼈를 다친 수비수 다닐루 페레이라(파리 생제르맹)와 우루과이전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당한 누누 멘드스(파리 생제르맹), 오타비우(포르투)로 이들은 한국전 결장이 유력하다.
다만 조별리그 중에 경고를 받은 선수가 다섯이나 된다. 다닐루 페레이라와 브루누 페르난드스(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주앙 펠릭스(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후벵 디아스(맨체스터 시티), 후벵 네베스(울버햄프턴)다. 조별리그와 16강전까지 경고 두 장을 받으면 다음 경기를 결장하게 되는 규정에 따라 이들은 한국전에서 한 장만 받아도 16강전에 나서지 못한다. 경고의 효력은 16강전에서 말소되며 8강부터 새롭게 적용된다.
그렇다고 포르투갈이 조 2위를 감수하며 경기에 질 수도 없는 노릇이긴 하다. G조 1위가 유력한 브라질과 8강 진출을 다퉈야 하기 때문이다. 페르난두 산투스 감독으로선 주심 배정 때문에 선수 운용의 폭이 더욱 좁아지게 됐다. 주전 요원 4~5명에게 휴식을 부여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한국도 경고가 석 장이나 쌓여 있지만 내일이 없는 것처럼 싸워야 하는 상황이란 점에서 다를 수밖에 없다. 우루과이와 경고 숫자를 따지는 상황에 몰릴 수도 있는데 우루과이도 현재 석 장이다.
2022-12-0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