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폰서 버드와이저 소유社 아시아 겨냥해 맞춤식 광고
지난 23일(한국시간) 한국과 나이지리아의 월드컵 B조 예선 3차전을 지켜본 시청자라면 경기장 안의 ‘A보드 광고판’을 보며 뭔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을 것이다. 월드컵 스폰서인 ‘버드와이저’ 대신에 중국의 맥주 브랜드 ‘하얼빈’이 노출됐기 때문이다. 왜 국제축구연맹(FIFA)은 막대한 후원금을 낸 버드와이저를 무시하고 다른 맥주 광고를 허용했을까?![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6/26/SSI_20100626044450.jpg)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6/26/SSI_20100626044450.jpg)
연합뉴스
25일 업계에 따르면 버드와이저를 소유한 벨기에의 ‘안호이저-부시 인베브(ABI)’는 지난 12일 아르헨티나-나이지리아 전에서 아르헨티나 국민맥주인 ‘킬메스’ 광고를 선보였다.
14일 네덜란드-덴마크 전에는 벨기에의 ‘주필러’를, 같은 날 열린 독일-호주 전에는 ‘하서뢰더(독일)’를 내보냈다. 16일 북한-브라질 전에도 브라질 브랜드 ‘브라마’를 방영했다.
ABI는 세계 맥주시장 점유율 23%(2008년 기준)를 차지하는 굴지의 맥주 생산업체. 앞서 언급한 브랜드뿐만 아니라 벡스, 레페, 호가든, 스콜 등 300여종의 식음료 브랜드를 갖고 있다. 때문에 이번 월드컵에서 각국 시청자들의 ‘입맛’에 맞춰 버드와이저와 다른 브랜드들의 광고를 병행하고 있다. 23일 한국팀의 경기에 하얼빈 맥주 광고를 내세운 것도 다분히 주 시청자인 중국인과 한국인들을 겨냥한 마케팅 포석이다.
FIFA의 맞춤식 광고 전략은 기존 인쇄식 광고판의 한계를 뛰어넘어 후원업체들에게 최고의 마케팅 효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때문에 이런 경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강화될 전망이다.
현재 남미 굴지의 식품업체인 ‘마르프리그(브라질)’도 유럽팀들의 경기에는 남미권 브랜드인 ‘세아라’ 대신에 지난해 인수한 ‘모이파크(영국)’를 내세워 맞춤 광고를 내놓고 있다. 국내 유일의 월드컵 스폰서인 현대기아자동차 역시 현대차와 기아차가 광고 비율을 7대 3으로 나눠 선별 진행하고 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06-2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