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물가상승압력 작년말 최고”

“잠재적 물가상승압력 작년말 최고”

입력 2010-02-04 00:00
업데이트 2010-02-04 0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월 물가 3.1%↑‥9개월만에 3%대 상승

잠재적 물가상승 압력이 지난해 4분기를 전후해 최고조에 이른 것으로 추정됐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실질통화량의 예비적 수요 증가율이 지난 2008년 2분기 2.19%를 기록했다. 이후에는 2008년 3분기 2.00%, 지난해 1분기 1.67%, 지난해 2분기 1.43% 등이었다.

실질통화량이란 물가변동과 계절성을 제거한 통화량이다. 돈을 보유하는 목적에 따라 거래적 수요, 예비적 수요, 투기적 수요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가운데 예비적 수요는 잠재적인 물가상승 압력을 가늠하는 지표다.

쉽게 말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도 쓰지 않은 채 갖고만 있으면 물가가 오르지 않지만, 언젠가는 그 돈을 쓰기 때문에 일정 시차를 두고 상거래 등 거래적 수요로 나타나 물가를 자극하는 것이다.

예비적 수요 증가율은 외환위기 이후 1%를 넘은 사례가 드물었다. 2006년 4분기와 2007년 1분기에 3% 안팎까지 오른 것은 당시 집값이 폭등해 부동산에 투자하려고 너도나도 돈을 많이 마련해놓은 데 따른 예외적 상황이었다.

한은 조사국 장정석 차장은 최근 보고서에서 “예비적 수요가 거래적 수요로 전환돼 물가상승을 가져올 때까지 대략 1년 반 정도 걸리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장 차장의 분석대로라면 2008년 2분기에 높이 치솟은 예비적 수요는 지난해 4분기에 거래적 수요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다.

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거래적 수요도 2008년 4분기 -1.19%에서 지난해 1분기 -1.16%, 2분기 -0.90% 등으로 회복하는 추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를 기록, 9개월 만에 처음으로 한은의 목표치인 3%(±1%포인트)를 넘었다. 물론 정부는 한파로 석유제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설명했지만, 중장기적으로 물가는 통화량에 의해 결정되는 게 정설이다.

장 차장은 “2% 안팎의 예비적 수요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여기에 경기회복 국면과 국제 원자재가 상승이 겹치면 인플레이션이 증폭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