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해외로 해외로

은행들 해외로 해외로

입력 2010-05-21 00:00
업데이트 2010-05-21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한銀, 인도에 3번째 지점…하나銀, 印尼은행 인수 추진

국내 은행들이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해외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기업은행, 산업은행 등은 해외 은행 인수나 지점 설립 등 현지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도 진출이 두드러진다. 국내 은행 중 유일하게 인도에 지점을 보유한 신한은행은 지난주 인도 당국으로부터 벨로르 지점 설립 승인을 받았다. 신한은행의 3번째 인도 지점이 설립될 벨로르에는 현대자동차 협력업체 150여개가 있다.

우리은행도 인도 당국의 승인을 받는 대로 현지 첸나이 지점을 설립할 계획이다.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은 연내 뉴델리 사무소를 지점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인도네시아의 중견 시중은행 인수를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하나은행의 현지법인과 합병시킨다는 구상이다. 인도네시아에는 200여개의 시중은행이 난립해 있어 다른 나라 국적의 은행이 현지 은행을 100% 인수하는 게 어렵지 않다. 신한금융그룹도 인도네시아 현지 금융회사 인수나 법인 설립 등을 검토하고 있다.

베트남과 중앙아시아, 중국 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하나은행은 중국 지린은행 지분 18.4% 취득을 위해 중국 당국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산업은행은 중앙아시아 진출을 위해 현지의 시중은행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베트남 중앙은행과 현지 합작은행 설립을 논의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베트남 하노이 사무소를, 하나은행은 베트남 호찌민사무소를 지점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올 하반기에 지난해 12월 설립한 신한베트남은행의 2개 지점(하노이지점, 빈즈엉지점)을 설치할 예정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인도네시아나 베트남 등은 자원이 풍부하고 인건비가 싸다는 장점이 있어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희기자 haru@seoul.co.kr
2010-05-21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