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수주는 시공능력순이 아닙니다”

“재개발 수주는 시공능력순이 아닙니다”

입력 2010-10-05 00:00
업데이트 2010-10-05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설사들의 올해 재개발·재건축 수주전에서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이 1, 2위를 기록하는 등 대대적인 변화가 연출됐다. 이달 1일부터 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조합 설립과 시공사 선정 등을 직접 관리하는 ‘공공관리자제’가 시행됨에 따라 지난달 말까지의 업체별 성과가 올 한해 실적으로 굳어질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전국 100여개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에서 15조원에 가까운 시공사 선정이 이뤄졌다. 이 가운데 대우건설, 롯데건설,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등 4개사가 2조원이 넘는 수주실적을 기록해 ‘2조원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 7월 발표된 시공능력 평가 순위와 크게 엇갈리는 것이다. 시공능력평가 4위인 대우건설은 15개 사업장에서 2조 6150억원을 수주해 1위에 등극했다. 인천 삼산1구역, 안양 비산2동 등 수도권에서 선전한 덕분이다. 시공능력 평가 7위인 롯데건설도 11곳에서 2조 2514억원어치를 따내 2위를 차지했다. 올해 재건축·재개발 수주 목표액 2조 300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롯데건설은 또 9개 사업장, 1조 9848억원의 물량을 수주한 서울지역에서도 2위를 기록했다.

시공능력 평가 2위인 삼성물산은 재건축·재개발 수주액 2조 2108억원(17곳), 서울지역 수주액 2조 3억원(15곳)의 고른 성적으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시공능력 평가 8위인 현대산업개발도 2조 774억원(12곳)어치를 따내 4위에 올랐다. 이들은 파격적인 조건 제시 등 공격적 수주전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국내 1위 현대건설은 1조 9117억원(11곳)의 물량을 수주했지만 5위에 머물렀다. 3위인 GS건설도 1조 6358억원(11곳)을 수주, 6위에 그쳤다. 시공능력 평가 5위의 메이저급 건설사인 대림산업도 1조 4166억원으로 7위에 머물렀다.

앞서 건설사들은 올해 가장 치열한 재건축·재개발 수주전을 벌였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미분양 부담이 적고, 공사대금 회수가 상대적으로 쉬운 재건축·재개발이 이른바 ‘블루오션’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불과 사나흘 동안 서울지역 재개발·재건축 수주시장에선 1조 5000억원대의 막판 수주 경합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 대형업체 관계자는 “공공관리자제 시행으로 앞으로 최소 1년 가량 시공사 선정 물량이 없어 이번 재건축·재개발 수주 결과가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0-10-05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