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보다 배꼽이 큰’ 은행 마이너스대출…가산금리 비중 62%

‘배보다 배꼽이 큰’ 은행 마이너스대출…가산금리 비중 62%

입력 2015-11-04 09:19
업데이트 2015-11-04 09: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은행 중엔 국민, 하나·우리, 신한, 농협 순으로 비중 커

시중은행의 마이너스대출(신용한도대출) 금리에서 차지하는 가산금리 비중이 6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기준금리보다 가산금리 비중이 높아 배보다 배꼽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KEB하나·NH농협·신한·우리·SC·씨티 등 7개 시중은행의 9월 마이너스대출 평균금리는 연 4.17%다.

이 가운데 기준금리 평균은 연 1.58%, 가산금리 평균은 연 2.59%다.

가산금리 비중이 전체 마이너스대출 금리 비중의 62%로, 가산금리가 기준금리보다 1.01%포인트 높다.

은행의 대출금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를 바탕으로 조달금리를 얹은 은행권 기준금리에 고객들의 신용도를 토대로 산출한 가산금리를 더해 정해진다.

은행들은 가산금리를 재량껏 산정하고 있으며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구체적인 산정 기준과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국내 시중은행 중에는 활동성 고객이 가장 많은 국민은행의 평균 마이너스대출 금리가 연 4.34%로 가장 높았다.

가산금리 비중도 63.1%로 시중은행 가운데 제일 컸다.

하나은행의 평균금리는 연 3.80%로 이중 가산금리 비중이 58.4%다.

우리은행은 연 3.87%로, 가산금리 비중이 58.4%를 차지했다.

신한은행의 평균금리는 연 3.67%이고 가산금리 비중은 56.9%다.

농협은행은 평균금리가 연 3.54%, 가산금리 비중이 54.8%로 국내 5대 은행 중에 평균금리와 가산금리 비중이 가장 낮다.

외국계 시중은행은 국내 시중은행보다 대출금리가 높고, 가산금리 비중도 컸다.

SC은행의 평균금리는 연 4.60%이고, 이 가운데 가산금리가 연 3.11%로 비중이 67.6%나 된다.

씨티은행의 평균금리는 연 5.56%로 가산금리 비중이 72.1%에 달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마이너스대출은 신용대출”이라며 “담보대출보다는 리스크 프리미엄이 붙기 때문에 가산금리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