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가뭄 영향으로 모기수 평년보다 4분의 1 줄어

극심한 가뭄 영향으로 모기수 평년보다 4분의 1 줄어

입력 2015-11-04 09:21
업데이트 2015-11-04 09: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뇌염 매개모기는 4분의 3 급감…”가뭄으로 서식 공간 줄어”

올해 극심한 가뭄의 영향으로 모기 개체수가 평년보다 4분의 1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일본뇌염의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수도 평년의 4분의 3이나 급감했으며 다른 해와 달리 10월 중순에 일찌감치 자취를 감췄다.

4일 질병관리본부의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현황’에 따르면 올해 4월 이후 지난달 10~17일(42주)까지 감시 체제를 통해 채집된 모기의 개체수는 1만6천830마리였다.

이는 평년(2001~2014년) 같은 기간의 2만2천129마리보다 23.9% 감소한 것이다. 작년 동기의 1만8천104마리보다는 7.0% 줄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975년부터 모기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의 밀도를 조사하고 있다. 전국 10개 시도의 10개 지점에서 모기를 채집해 파악한 개체수를 통해 일본뇌염의 감염 위험을 감시하고 있다.

올해 모기의 개체수는 감시 체계가 시작된 4월 이후 7월26~8월1일(31주)까지는 평년과 비슷했지만, 이후 급격하게 감소해 평년의 절반 이하 수준까지 떨어졌다.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의 경우 올해 특히 맥을 못췄다. 42주까지 작은빨간집모기의 개체수는 1천203마리로 평년의 4천527마리보다 73.4%나 줄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지난달 11~17일(42주)에는 채집된 개체수가 ‘0마리’를 기록하기도 했다. 채집 개체수가 지난 5년간 평균 35마리였으며 작년은 7마리였던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이 기간 모기의 개체수는 17마리로, 지난 5년간 평균인 45마리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전문가들인 이처럼 모기의 개체수가 올해 특히 줄어든 이유로 여름 이후 계속되고 있는 극심한 가뭄을 꼽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모기는 습한 곳에서 서식을 하기 때문에 모기의 체집 개체수는 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올여럼 덥기는 했지만 가을까지도 가뭄이 계속되면서 모기의 서식 공간이 줄어들었고 이 때문에 개체수가 평년보다 적었다”고 분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1월1일부터 지난달 27일까지 전국의 누적 강수량은 779.7㎜로, 이전 30년 평균치인 1천231.5㎜의 63%에 그치며 전국이 극심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가뭄의 영향을 받은데다 기온도 떨어지면서 최근 모기 개체수는 크게 줄었지만 실내에서는 늦가을 모기에 시달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질본 관계자는 “가을철에는 모기의 개체수는 적지만 상대적으로 따뜻한 실내로 몰려들기 때문에 늦가을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