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성과주의 논의 수면위 부상… ‘갑론을박’

은행권 성과주의 논의 수면위 부상… ‘갑론을박’

입력 2015-11-05 15:53
업데이트 2015-11-05 15: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터 무한경쟁의 장으로 변질” vs “역량 떨어지면 도태되어야”

그동안 은행권 물밑에서 머물던 연봉제에 대한 논의가 드디어 수면위로 떠올랐다.

금융당국이 금융개혁의 하나로 은행의 성과주의 확산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하기 시작했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27일 10개 시중은행장들에게 은행권 성과주의 확산 문제를 언급한 데 이어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5일 열린 금융경영인 조찬강연회에서 비슷한 내용을 언급하면서 성과주의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은행권 일각에서는 올해 임단협 협상에서 성과주의에 기반을 둔 연봉제 협상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을 예상하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노조 간부는 “금융권에서는 그동안 연장자에 대한 우대가 있었고 그 근간이 호봉제”라며 “만약 성과급제가 도입되면 동료의식이 사라지고 일터는 무한 경쟁의 장으로 변질될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연봉제를 도입하면 자연스럽게 임금이 삭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며 “사측에서 올해 임단협 안건으로 들고 나오겠지만 강력히 반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창구에 가보면 기업대상 업무, 개인고객 업무 등 직원마다 하는 일이 모두 다르다”며 “일괄적인 잣대로 성과를 측정한다는 것이 옳은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치 은행권이 연공형 임금체계 속에 안주하는 것처럼 비치는 것도 현장 상황과 동떨어진 인식”이라며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지점당 90명 이상이던 직원 수가 현재는 20여명 아래로 떨어졌다. 그만큼 직원들이 과중한 업무에 허덕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의 사원도 “성과 때문에 연봉제를 도입했지만, 사실 성과가 나아졌다는 확실한 데이터도 없다”며 “수년 전 모 은행이 노조의 반대에도 연봉제를 도입했지만 크게 개선됐는지는 의문”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더구나 성과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체계가 마련돼 있지도 않은 상황에서 연봉제를 도입하면 상사 눈치만 보는 일이 팽배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저금리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하락, 핀테크 도입 등으로 갈수록 은행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국면에서 성과주의 연봉제 도입은 필수라는 목소리도 있다.

한 시중은행의 관리자급 인사는 “연봉제를 이미 도입했어야 했다”며 “나이만 들면 자동으로 진급하고, 월급을 올려받게 되면 누가 열심히 일을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철저하게 성과급제로 가야 한다. 업무 역량이 떨어지는 행원은 도태 되어야 한다”며 “지금 당장 안되더라도 점진적으로 수년에 걸쳐서 반드시 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성과급제 도입 과정에서 “정부에서 시중은행에 가이드라인을 줘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에 앞서 노사와 연구자들이 만나 성과급제 도입의 장단에 대한 소통의 장을 우선적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팀장급 관계자는 “연봉제가 대세라면 그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라며 “다만 평가가 중립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은 갖춰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작년 금융산업에서 호봉제 도입 비율은 91.8%로 전체 산업(60.2%)보다 높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