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제성장률 1%P 떨어지면 韓 성장률 최대 0.6%P 하락”

“中 경제성장률 1%P 떨어지면 韓 성장률 최대 0.6%P 하락”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11-09 23:08
업데이트 2015-11-10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DI “항공·전기·전자 큰 영향”

중국의 성장률이 1% 포인트 떨어지면 우리 경제성장률은 최대 0.6% 포인트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정부는 향후 5년간 경제성장률 마지노선을 6.5%로 못 박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17년 중국의 성장률이 6.2%까지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성태 연구위원과 정규철 연구위원은 9일 발표한 ‘최근 중국경제 불안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경기 부양 정책의 부작용으로 누적된 과잉 투자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중국 경기가 급락할 우려가 있다”며 중국 경기 둔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를 이같이 추정했다.

중국 성장률이 1% 포인트 하락하면 우리 경제성장률은 직접적으로 0.2% 포인트 정도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여기에 중국 경기 악화로 아시아 신흥국과 자원 수출국, 선진국의 회복세마저 약화되면 우리 성장률은 추가로 0.2~0.4% 포인트 더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산업별로는 항공과 전기·전자기기, 기계, 화학 등의 산업에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1.0% 포인트 하락하고 중국 외 국가의 성장률이 0.2% 포인트 감소한다고 가정할 경우 항공산업의 부가가치는 1.38%가량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2.9%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올해 6.8%, 내년 6.5%, 내후년 6.2%까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3.0%에서 2.7%로 다시 내려 잡았다. 정부 전망치(3.1%)를 빼고 공신력 있는 국제기구와 민간 기관 모두가 올해 우리 성장률을 2%대로 예상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3.6%에서 3.1%로 0.5% 포인트나 낮췄다. OECD는 9일 발표한 ‘주요 국가 경제전망’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과 수출 부진의 영향이 크다”며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최대 위험 요인으로는 가계부채를 꼽았다.

세종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1-10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