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서 1만원 화장품 물 건너 한국 오니 2만 5000원 ‘껑충’

佛서 1만원 화장품 물 건너 한국 오니 2만 5000원 ‘껑충’

장은석 기자
입력 2015-11-09 23:08
업데이트 2015-11-10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 나가면 면세 한도 구입” 국내 가격이 최대 2.69배 비싸

#최근 프랑스에 여행을 간 직장인 김모(30대·여)씨는 파리의 한 약국을 찾았다. 프랑스 유명 화장품이 국내의 반값이기 때문이다. 약국은 한국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김씨는 한국에서 2만 5000원 하는 ‘바이오더마 센시비오 H2O 250㎖’(클렌징 워터)를 1만원에 샀다. “프랑스에 오면 화장품을 면세 한도까지 사는 게 돈 버는 길”이라는 게 김씨의 얘기다.

수입 화장품이 ‘물만 건너면’ 값이 곱절로 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송비와 관세, 유통마진 등이 붙어서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지만 미국과 프랑스 등 주요 화장품 제조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었음에도 가격은 싸지지 않고 있다.

한국소비자연맹은 9일 공정거래위원회의 예산을 지원받아 국내에서 많이 팔리는 수입 화장품 65개의 국내외 가격을 비교 조사한 결과 국내 가격이 최대 2.69배 비싸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은 국내 백화점과 대기업 계열의 올리브 영, 롭스 등 드럭스토어에서 파는 수입 화장품의 평균 가격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5개국 평균 가격과 비교했다.

백화점에서 파는 화장품은 해외 평균 가격보다 최대 1.56배, 드럭스토어 판매 제품은 최대 2.46배 비쌌다. 백화점보다 값이 싸다고 알려진 드럭스토어에서 파는 화장품이 외국보다 더 비쌌다. 백화점에서 파는 화장품 중에서는 프랑스산 ‘비오템 옴므 폼 쉐이버 200㎖’의 가격차가 가장 컸다. 국내에서는 평균 3만 6000원인데 해외 평균 가격은 2만 3089원으로 1.56배 차이가 났다. 드럭스토어 제품 중에서는 국내 평균 가격이 2만 9904원인 프랑스산 ‘라로슈포제 시카플라스트 밤 B5 100㎖’가 해외 평균 가격(1만 2158원)보다 2.46배 비쌌다.

화장품 제조국 현지 가격과는 차이가 더 벌어졌다. 백화점 제품은 제조국 판매가격보다 최대 1.73배, 드럭스토어 화장품은 최대 2.69배 비쌌다. 가격차가 가장 큰 화장품은 미국산 ‘버츠비 레몬 버터 큐티클 크림 17g’이었다. 국내 드럭스토어 평균 가격이 1만 9794원으로 미국(7368원)의 2.69배다.

이선용 한국소비자연맹 교육홍보팀장은 “수입 화장품은 수입 원가보다 최대 9배나 비싸게 팔리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FTA로 관세가 싸진 만큼 화장품 판매업체들이 가격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11-10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