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신용정보기관 전직 신청 기대 이하… 한지붕 多가족 불안?

[경제 블로그] 신용정보기관 전직 신청 기대 이하… 한지붕 多가족 불안?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5-11-09 23:08
업데이트 2015-11-10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행·보험·여신 등 업권별로 개별 운영해 온 신용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이 진통 끝에 내년 1월 출범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누가 가느냐’를 놓고 시끌시끌하다네요. 각 금융협회 직원들은 ‘전직(轉職)의 득실’을 놓고 열심히 주판알을 튕기는 중입니다.

은행연합회, 여신금융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금융투자협회 등 새 정보집중기관 아래 헤쳐 모이게 될 각 협회는 9일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직 신청서 접수를 마감했습니다. 전직 대상자 요건에 따르면 1순위는 ‘현재 신용정보 업무 관련 담당’, 2순위는 ‘5년 내 1년 이상 신용정보업무 담당’, 3순위가 기획·예산, 구매·계약, 법무·홍보, 인사 등입니다. 지난 5일에는 직원 대상 전직 설명회도 열었습니다.

그런데 호응이 예상보다 저조합니다. 손·생보협회의 경우 10~20명가량을 기대했지만 신청자 수는 양쪽 협회 합쳐 봐야 6~7명 수준이라고 합니다. 금융투자협회는 아예 신청자가 없다고 하네요. 한 금융권 인사는 “순혈주의를 벗고 ‘한지붕 다(多)가족’이 되는 데 대한 우려가 큰 것이 사실”이라면서 “안정적인 협회에서 나간다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했습니다. 앞으로 정권이 바뀌면 조직이 또 어떻게 재편될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작용했다고 합니다. 새로 생긴 조직에 가 봐야 힘들기만 하다는 선입견도 크겠지요. ‘집 떠나면 고생’이란 말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다른 시각도 있습니다. 은행연합회 주도 아래 만들어지는 기관이니만큼 연봉도 적지 않을 것이고 미래 발전 가능성 역시 크다는 것이지요. 빅데이터 업무가 미래 금융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를 것은 대다수가 공감하는 사안이니까요.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 설립을 위한 추진위원회가 13일까지 시간을 준 만큼 아직은 (전직 신청) 여유가 있다”고 설명합니다.

조직 구성이 더디다 보니 통합 기관의 본래 목적인 금융정보 공유와 데이터 이전에 대한 논의도 초기 단계입니다. 그래도 조급증을 가져서는 안 될 것입니다. 인력 구성이나 금융정보 이전 부분을 급하게 진행했다가는 ‘제2의 정보유출’ 사태를 부를 수도 있을 테니까요.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5-11-10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