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간식’ 순대·떡볶이·계란 불량식품 멍에 벗을까

‘국민간식’ 순대·떡볶이·계란 불량식품 멍에 벗을까

입력 2015-11-10 11:23
업데이트 2015-11-10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7년까지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 의무화

식품 안전당국이 국민이 평소 즐겨 먹는 순대와 떡볶이, 계란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에 나서면서 이들 식품이 불량 식품이란 불명예를 벗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이들 3대 생활밀착형 식품에 2017년까지 식품안전관리인증(HACCP)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이른바 해썹(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이라 불리는 식품안전관리인증은 과학적인 예방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가공·조리·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확인, 평가하고 중점관리요소를 지정, 관리하는 방식이다.

사실 이들 식품은 국민 간식이란 화려한 칭호 뒤에 불량 식품이란 멍에를 쓰고 있다. 식품 당국이 단속할 때마다 위생관리위반으로 빠지지 않고 걸리는 단골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과 함께 지난 6~7월 순대 제조업체 92곳을 위생 점검해 봤다. 그랬더니, 42곳이 각종 위생기준을 어기다 걸렸다. 유통기한이 지난 원료(돼지고기)와 제품을 보관하거나 표시기준을 위반하고, 자가품질검사를 하지 않는 등 위생관리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행정처분을 받았다.

지난 7월에는 연매출 500억원에 달했던 송학식품이 대장균 떡 불법 유통하다가 걸렸다.

계란도 마찬가지다. 지난 9월에는 깨진 계란 등 버려야 할 불량 계란을 정상제품과 섞거나 전락액(껍데기를 제외한 액상)으로 만들어 식당, 학교급식, 제과제빵업체 등 6만 곳에 유통판매한 일당이 경찰에게 붙잡혔다.

이처럼 자주 적발되지만, 근본적인 위생 개선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먹을거리 전반에 대한 국민불신까지 낳고 있다.

이들 식품 제조업체가 대부분 영세한데다, 대형식당부터 노점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 유통되면서 단속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식약처가 식품제조에서 유통, 소비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서 단계별로 인체 위해 물질이 식품에 섞이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썹을 이들 식품에 적용하기로 한 까닭이다.

식약처의 통계자료를 보면, 2014년말 현재 순대 제조업체는 총 200곳이다. 이 중에서 종업원이 1명 이하인 데가 140곳으로 매우 영세하다. 매출액으로 따지면, 연매출액 5억 미만이 189곳으로 94%를 차지한다. 연매출액 1억 미만이 무려 158곳(79%)에 달한다.

200곳의 순대 제조업체중에서 자율적으로 35곳만이 해썹 인증을 받았다.

떡 제조업체도 상황이 비슷하다. 2014년말 현재 총 1천212곳인데, 연매출액 5억 미만이 1천150곳으로 94%에 이른다. 연매출액 1억 미만이 972곳으로 80% 수준이다. 떡 제조업체 중에서 해썹 인증 업소는 103곳에 불과하다.

계란 가공업체도 영세하다. 2014년말 현재 총 132곳이며 이 중에서 연매출액 5억 미만이 84곳으로 64%다. 연매출액 1억 미만이 48곳으로 36%에 이른다. 39곳만이 해썹 인증을 받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