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천대 기업 5.9%에 ‘위험 경고등’ 들어왔다

국내 2천대 기업 5.9%에 ‘위험 경고등’ 들어왔다

입력 2015-11-18 07:23
업데이트 2015-11-18 0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7개사 부채비율 200%↑·영업손실·당기순손실 ‘3대 악재’IMF 외환위기 직전보다 영업손실 낸 기업 배 이상 늘어나

국내 2천대 기업 가운데 약 5.9%인 117개사가 부채비율 200% 이상, 영업손실, 당기순손실 등 3대 악재에 직면해 ‘위험 경고등’이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 IMF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보다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을 낸 기업 비중이 늘어났다.

기업분석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는 최근 국내 2천대 기업 위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고 18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상장·비상장사 중 매출 기준이며 금융업은 제외됐다.

조사결과 작년 한해 2천대 기업 중 부채 비율이 200%를 넘은 곳은 295개사(14.8%)나 됐다. 통상 제조업에서는 부채비율이 200% 이하여야 재무구조가 건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부채비율 200~300%는 108곳, 300% 이상 기업은 56곳, 400%가 넘는 기업은 93곳이다. 자기자본이 잠식된 기업도 38곳이다.

부채비율 200% 이상 기업 중 대기업은 76곳, 중견기업은 39곳이고 중소기업이 180곳이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45곳으로 최다. 전자(41곳), 무역·유통업(28곳), 기계(23곳) 등도 많은 편이었다.

2천대 기업 중 영업손실을 본 기업은 494개사(24.7%)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올렸지만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기업은 616곳(30.8%)으로 더 많았다.

3가지 지표의 공통분모로 부채비율 200% 이상과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기업이 총 117곳이나 됐다.

이들 기업에 소속된 직원은 4만7천290명으로 2천대 기업 전체 직원의 2.9%를 점했다.

이들 기업의 총 부채총액은 53조3천944억원, 자본총액은 10조490억원으로 평균 부채비율이 508%에 달했다.

IMF 외환위기 직전과 비교하면 기업 경쟁력이 더 나빠졌다고 CXO연구소는 평가했다.

1996년 영업손실, 당기순손실을 낸 기업 비중은 각각 10.5%, 18.6%였으나 지난해 영업손실 기업은 23.8%, 당기순손실을 낸 기업은 28.4%로 외환위기 이전보다 급증했다.

오 소장은 “국내 경제에 더 큰 위기가 찾아오게 하는 위험 요소를 줄여나가기 위한 차원에서 경쟁력이 상실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선제적인 매각·합병 작업을 하거나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것은 어느 정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조조정을 해야 할 기업은 숫자면에서 중소기업이 훨씬 많지만 부채규모 및 기업부실을 감안할 때 국내 경제에 미칠 파급력은 대기업이 더 크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