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모바일 페이 빅3에 도전장… 범용성 ‘승부수’

LG, 모바일 페이 빅3에 도전장… 범용성 ‘승부수’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11-19 23:10
업데이트 2015-11-20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간편결제 서비스 2차전 돌입

‘페이 전쟁’이 뜨겁다. 삼성페이(삼성전자)와 애플페이(애플), 안드로이드페이(구글) 등 모바일 간편결제 ‘빅3’가 본격적인 영토 확장을 시작한 가운데 LG전자도 도전장을 던졌다.

이미지 확대
우선 애플과 삼성이 모바일 간편결제로 세계 시장에서 격돌한다. 애플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 이어 19일(현지시간) 호주에 애플페이 서비스를 출시했다. 지난 7월에는 영국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삼성전자도 이르면 내년 초부터 중국을 비롯해 영국, 스페인 등에 삼성페이 서비스를 출시하며 애플의 글로벌 공략에 ‘맞불’을 놓는다. 앞서 애플은 지난해 10월, 삼성과 구글은 지난 9월 미국에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시작하며 한차례 맞붙었다.

구글도 최근 공개한 레퍼런스폰 ‘넥서스5X’와 ‘넥서스6P’에 안드로이드페이를 탑재했다. 아직까지는 미국에서만 쓸 수 있지만 구글은 세계 시장을 순차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LG전자도 페이 전쟁에 뛰어들었다. LG전자는 19일 국내 카드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자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LG페이’의 출범을 공식화했다.

업계 관계자는 “초기 단계인 지금은 제조사별로 스마트폰과 이용자를 묶어두는 ‘록인’(가둬 두기) 효과가 생기지만, 각 서비스의 범용성과 사용 편리성이 판도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애플페이와 삼성페이는 범용성에서 명암이 엇갈렸다. 근거리무선통신(NFC) 방식의 단말기에서만 결제가 가능한 애플페이는 미국에서 NFC 결제 단말기가 확산되지 않아 가입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다. 안드로이드페이 역시 NFC 방식만 지원해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가장 보편적인 결제방식인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방식까지 지원하는 삼성페이는 국내 출시 2개월 만에 가입자 100만명을 돌파한 데 이어 미국 시장에서도 순항 중이다.

후발주자인 LG전자가 꺼내든 카드도 범용성이다. LG전자는 LG페이가 MST, NFC 등 단말기의 결제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한 서비스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여러 종류의 신용카드 정보를 담아두었다가 스마트폰과 연동해 결제에 이용할 수 있는 휴대장치인 ‘화이트 카드’를 채택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결제 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늘리려는 경쟁도 치열하다. 애플은 애플페이에 모바일 송금 서비스를 추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현금출금과 멤버십카드 서비스를 추가한 데 이어 교통카드, 온라인 결제 서비스, 모바일 송금 서비스 등도 준비하고 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11-20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