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논란 ‘윤초’ 2023년까지 일단 유지

10년 논란 ‘윤초’ 2023년까지 일단 유지

입력 2015-11-20 10:25
업데이트 2015-11-20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전파통신회의 나라간 이견으로 합의 실패

기존 시간에 1초를 더하거나 빼는 윤초 제도가 일단 2023년까지 유지되게 됐다.

20일 한국천문연구원 등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전파통신회의(WRC)에서는 윤초의 폐지 문제가 논의됐지만 회원국 간 이견으로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회의에 참가한 193개국은 윤초의 폐지나 대안 등을 대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을 중심으로 공동연구를 한 뒤 2023년 WRC에서 다시 폐지 여부를 논의하기로 했다.

윤초는 세슘 동위원소(원자번호 133)의 진동수(초당 91억9천263만1천770회)를 기준으로 삼는 ‘원자시’와 실제 지구의 자전에 의한 ‘천문시’ 사이의 오차 때문에 발생한다.

쉽게 말하면 지구의 자전 속도가 불규칙하기 때문이다. 지구의 자전 속도는 태양과 달에 의한 조석력이나 지진 등의 영향으로 조금 빨라지거나 느려진다.

천문학자들이 지구의 자전 주기를 정교하게 측정한 천문시(UT1)와 원자시를 기준으로 산출된 세계협정시와의 오차가 0.9초 이상이 되면 윤초를 시행해 세계협정시를 1초 앞당기거나 늦춘다.

사람이 정한 인공시(원자시)와 실제 지구의 자전에 따른 자연시(천문시)를 일치시키려는 게 바로 윤초다.

문제는 컴퓨터나 위성 등에 이 윤초를 반영하는 일이 복잡하고 큰 비용을 낳는다는 점이다. 실제 2012년 6월 윤초를 반영한 뒤 호주 콴타스 항공의 발권 시스템, 레딧·모질라 같은 인터넷 사이트가 문제를 일으켰다.

구글 같은 인터넷 기업이나 증권시장, 금융시장 등도 컴퓨터 시스템에 윤초를 반영하려면 적지않은 비용을 들이면서 골치를 앓아야 한다.

이러다 보니 미국을 중심으로 2000년대 중반부터 윤초 폐지론이 제기됐다. 1초의 오차는 미미한 차이에 불과해 일상 생활에는 큰 문제가 없으니 윤초를 없애자는 것이다.

유럽의 다수 국가나 한국, 일본, 호주 등도 윤초 폐지론을 지지한다.

반면 세계협정시의 기준이 되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갖고 있는 영국이나 자국의 위성항법시스템(GLONASS)에 윤초를 이미 반영해놓은 러시아, 일부 중동 국가 등은 윤초 폐지에 반대하고 있다.

ITU는 2012년에도 윤초 폐지 문제를 논의했으나 이런 나라별 입장 차 때문에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번 WRC 회의에서는 결론을 내리자며 논의의 테이블에 올렸지만 만장일치에 따른 결정을 원칙으로 하는 규정에 따라 결국 결정을 못했다.

천문연구원 관계자는 “세계 각국 간 이해가 엇갈리고 있어 윤초 폐지 문제는 당분간 쉽게 해결되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