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본 한국경제 나이 평균 50.8세…저성장 우려

국민이 본 한국경제 나이 평균 50.8세…저성장 우려

입력 2015-11-22 11:23
업데이트 2015-11-22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은 경기 침체와 저성장에 시달리는 우리 경제의 나이를 평균 50.8세로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우리 경제 현주소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경제의 활력을 나이로 평가하는 질문에 ‘50대 이상’이라는 응답이 51.2%에 달했다. 40대라는 답변은 전체의 33.8%, 30대 이하는 14.2%였다.

평균 50.8세는 일반 기업으로 따지면 부장급 나이며 국민 실제 평균연령 40.3세(과장급)와 비교해도 10.5세 많은 것이다. 경제 나이를 50대 초입으로 평가한 데는 저성장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011년부터 경제성장률이 평균 2~3%대에 머문 것에 대해선 응답자의 88.5%가 우려를 표명했으며 이 가운데 30.4%는 매우 우려했다.

저성장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응답자의 37.1%가 ‘고용위축, 청년실업 상승’을 꼽았다. 특히 취업을 앞둔 청년세대(19~29세, 48.3%)와 부모세대(50대, 44.9%)의 우려가 컸다.

우리 경제의 활력을 위협하는 최대요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26.8%)’, ‘높은 청년 실업률(24.3%)’이 가장 많이 제기됐다. 전경련은 저출산·고령화와 청년실업은 대표적인 선진국병으로 우리 경제가 선진국 문턱에서 성장 조로화 현상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저성장, 경제활력 저하에 발목 잡힌 우리 경제가 발전하려면 기업은 ‘일자리 창출 및 투자확대(56.3%)’, 정부는 ‘경제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44.2%)’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가장 많이 답했다.

잠재성장률 확충 방안에 대한 응답은 ‘신산업, 신직업 창출(47.4%)’, ‘규제개혁을 통한 투자확대(14.8%)’, ‘주력산업 고부가가치화(14.3%)’ 순이다.

전경련 홍성일 재정금융팀장은 “국민 10명 중 9명은 5년째 2~3%대 성장이 이어지는 상황에 대해 불안이 크다”면서 “신산업, 신시장 창출 및 노동시장 효율성 향상 등 공급 측면 혁신을 통해 투자를 촉진하고 경제체질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