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GDP대비 가계부채, 신흥국중 1위…기업부채는 4위

韓 GDP대비 가계부채, 신흥국중 1위…기업부채는 4위

입력 2015-11-22 14:31
업데이트 2015-11-22 14: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의 경제규모 대비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신흥국 중 거의 최고 수준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22일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분기 기준으로 18개 신흥국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4%로 가장 높았다. 이는 선진국의 평균 74%를 웃도는 것은 물론, 신흥 아시아의 40%에 비해 2배에 이른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의 72%에 비해 12%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5%(작년 말 기준)에 육박해 위험한 수준이라고 IIF는 설명했다.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상환 비율(가처분 소득 중 가계부채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들어가는 돈의 비율)도 11.5%에 달했다.

한국의 1인당 가계부채는 3만달러에 달해 18개 신흥국 중 싱가포르(4만3천달러), 홍콩(3만2천달러) 다음으로 많았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106%로, 선진국의 90%를 크게 웃돈 것은 물론, 18개 신흥국 중 홍콩(226%), 중국(161%), 싱가포르(142%) 다음으로 높았다.

금융기업 부채 비율도 86%로 2008년 금융위기 직전 수준으로 상승했으며 18개 신흥국 중 싱가포르(212%), 홍콩(196%) 다음으로 높았다.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금융위기 전 24%에서 지난 1분기 41%로 급등해 신흥국 중 32%에서 55%로 치솟은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이어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다. 하지만 선진국의 정부부채 비율이 같은 기간에 66%에서 101%로 상승한 데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한국의 가계·기업·정부부채(총부채)는 올해 1분기 기준 GDP의 3배를 넘어섰다. 한국의 GDP 대비 총부채비율은 2008년 금융위기 전 272%에서 올해 1분기 317%까지 상승했다.

같은 기간에 18개 신흥국의 가계·기업·정부부채는 58조 달러로 급증해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역대 최고치인 195%까지 치솟았다.

18개 신흥국의 가계부채는 7조6천억 달러로 10년 만에 3배로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비금융 기업부채는 23조 7천억 달러로 같은 기간 5배 이상으로 빠르게 증가해 GDP 대비 90%를 넘어섰다.

훙 트란 국제금융협회(IIF) 집행상무이사는 연합뉴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한국의 비금융 기업부채 증가세는 다른 신흥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부채의 수준이 높은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 “지금까지는 저금리의 덕을 봤지만, 미국의 금리인상이 시작된다면 기업들이 상환압박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신흥국 비금융 기업부채는 6천억 달러에 달하며, 이 중 850억 달러는 달러표시 채권이다.

18개 신흥국 중 내년에 갚아야 할 달러표시 채권이 많은 국가는 한국(210억달러), 중국(90억달러), 브라질(90억달러), 멕시코(70억달러) 순이라고 IIF는 설명했다.

트란 이사는 “미국이 금리를 올릴 때 발생하는 환율 변동성은 기업들을 원리금 상환과 외환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면서 “일부 기업들은 외환 위험을 헤지해두지 않아 외환 위험이 은행들의 신용위험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