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러 창구도 대기표도 없다… 은행 아닌 듯한 ‘차세대 은행’

텔러 창구도 대기표도 없다… 은행 아닌 듯한 ‘차세대 은행’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5-11-26 23:06
업데이트 2015-11-27 0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씨티은행 스마트지점 ‘씨티골드 반포지점’ 가보니

한국씨티은행이 기존 은행 풍경을 확 뜯어고쳤다. 은행 점포라면 당연히 있을 법한 텔러(창구 직원)도, 대기표를 뽑는 기계도 없다. 의자도 없다. 창구에는 PC 몇 대만 놓여 있고 직원들은 서서 고객을 기다린다. 고객이 은행 문을 밀고 들어서는 순간부터 일대일 맞춤 서비스가 제공된다. 자산관리(WM)를 원하면 안쪽의 프라이빗뱅커(PB) 센터로 안내한다.

이미지 확대
한국씨티은행이 차세대 지점을 표방하며 지난 23일 선보인 서울 반포지점의 ‘스마트존’. 고객이 직접 PC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도록 기존 창구를 없앴다. 한국씨티은행 제공
한국씨티은행이 차세대 지점을 표방하며 지난 23일 선보인 서울 반포지점의 ‘스마트존’. 고객이 직접 PC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도록 기존 창구를 없앴다.
한국씨티은행 제공
26일 찾아간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씨티골드 반포지점’에는 수십 년간 익숙하게 봐 왔던 은행의 모습이 온데간데없었다. 글로벌 은행인 씨티가 폴란드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자산 관리에 방점을 찍고 승부수를 띄우기 시작한 것이다.

기존 은행 창구에서 하던 계좌 개설 및 상품 가입은 고객이 직접 PC로 할 수 있도록 했다. 직원이 옆에서 나란히 앉아 설명해 주기 때문에 낯선 환경 변화를 염려할 필요는 없다. 종이 서류 없이 모든 작업을 디지털로 처리하는 것도 특징이다.

창구를 없앤 대신 자산관리 공간을 키웠다. 자산관리 전담 직원도 17명이나 배치했다. PB가 13명에 투자, 보험, 외환, 포트폴리오 등 영역별로 각각의 전문가를 뒀다. 전국 134개 씨티은행 지점 중에서는 가장 많은 숫자다.

이들은 인근 서초, 방배 지역 6개 점포 PB 고객 2700여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상담을 한다.

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슈퍼리치 고객에게는 ‘포트폴리오 360도’ 서비스도 제공한다. PB뿐 아니라 각 분야 전문가들이 팀을 이뤄 시장 변화를 예측한 뒤 고객의 현금 흐름과 투자 성향에 맞게 360도 자산 배분을 해 주는 종합적인 자산관리 서비스다.

박진회 씨티은행장은 “자산관리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대상 고객군도 확대했다”며 “자산규모 5000만원 이상이면 씨티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차세대 지점을 앞으로 10곳 더 개설할 계획이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11-27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