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은행권 부실채권비율 1.41%…전기대비 0.09%p↓

3분기 은행권 부실채권비율 1.41%…전기대비 0.09%p↓

입력 2015-11-27 07:44
업데이트 2015-11-27 0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부진에도 저금리로 상환부담 감소…기업부문은 여전히 높아

경기가 부진했지만 은행권의 부실채권비율(총여신액 대비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2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분기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치)을 보면 9월 말 현재 은행권 부실채권비율은 1.41%로 2분기 말보다 0.09%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2012년 4분기(1.3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작년 3분기 말과 비교해서도 0.31%포인트 낮다.

은행권 부실채권비율은 작년 4분기 1.55%에서 올 1분기 1.56%로 소폭 상승했다가 이후 2개 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금감원은 “저금리 지속으로 가계의 대출 상환부담이 완화됐고, 은행이 적극적으로 부실채권 정리에 나서고 있다”고 부실채권비율 하락 배경을 설명했다.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미국(1.68%, 2분기 말 기준), 일본(1.64%, 1분기 말 기준) 등 주요 선진국보다 낮다.

다만 기업여신에 대한 부실채권비율은 3분기 말 현재 1.91%로, 2012년 말(1.66%)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조선(5.12%), 건설(4.38%), 전자부품(3.95%), 철강(2.62%) 등 취약업종은 부실채권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3분기 말 은행권 전체 부실채권 규모는 23조2천억원으로 2분기 말 대비 9천억원 감소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 부실이 20조9천억원으로 전기 대비 8천억원 감소했고, 가계여신 부실은 2조2천억으로 전기 대비 1천억원 감소했다.

3분기 중 새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4조4천억원으로 전기 대비 1조5천억원 감소했고 정리한 부실채권 규모는 5조3천억원으로 전기 대비 1조2천억원 감소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조선업 등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등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며 “은행이 대손충당금을 적정하게 적립하도록 해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