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임금근로자 절반, 1년 안에 새 직장 찾아 떠난다

20대 임금근로자 절반, 1년 안에 새 직장 찾아 떠난다

입력 2015-11-27 13:41
업데이트 2015-11-27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임금근로 일자리 총 1천705만개…전년대비 3.4%↑

20대 임금근로자 중 절반가량은 취업 후 1년 안에 일자리를 옮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4년 임금근로 일자리 행정통계’를 보면 지난해 임금근로 일자리는 1천705만3천개로 전년보다 3.4%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한 기업체에서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같은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를 뜻하는 ‘지속 일자리’는 전체의 69.1%를 차지했다.

기업체가 새로 생겨 만들어진 일자리나 기업 안에서 근로자가 바뀐 일자리를 뜻하는 ‘신규채용 일자리’는 30.9%였다.

신규채용 일자리는 527만1천개로 전년보다 2.2%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에서 30대가 27.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다음이 40대(26.8%), 50대(18.9%), 20대(18.0%), 60세 이상(7.5%) 순이었다.

50대 임금 근로자 비중은 2년 연속 20대를 앞질렀다. 50대 임금 근로자 비중은 전년도 조사에서 2011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후 처음으로 20대보다 커졌다.

안정성 측면에서 보면 20대의 일자리가 30∼50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에서 지속 일자리 비중은 52.2%로, 30대(73.0%), 40대(75.7%), 50대(74.5%)보다 20%포인트 이상 낮았다. 19세 이하는 14.9%로 20대보다 더 낮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는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연령대”라며 “처음부터 안정적인 일자리를 잡지 못해 일단 취직하고 본 뒤 이직하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임금근로 일자리는 모든 연령대에서 전년보다 증가했다.

특히 50대가 지난해 늘어난 임금근로 일자리 중 34.8%를 차지해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그다음이 40대(28.3%), 60세 이상(21.5%), 20대(10.8%)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자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의 61.3%를, 여자는 38.7%를 차지했다.

남자(1천46만개)는 여자(659만3천개)보다 1.6배 많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다만 지난해 증가한 임금근로 일자리(55만6천개) 중에선 여자가 29만1천개로 52.3%를 차지해 남자보다 점유율이 높았다.

근속기간별로는 1년 미만인 임금근로 일자리가 29.2%로 가장 많았다. 1∼3년 미만은 28.5%, 5∼10년 미만이 13.3%, 3∼5년 미만이 11.4% 순이었다.

회사법인별로 보면 종사자규모로는 300인 이상 기업체의 임금근로 일자리가 전체의 43.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율로는 50인 미만 기업체가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존속기간이 10년 이상 된 회사가 제공하는 임금근로 일자리가 전체의 66.2%를 차지했다.

또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인 회사의 일자리 비중이 57.8%로 집계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의 24.7%를 공급하고 있다. 그다음이 도매 및 소매업(10.2%),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1%), 건설업(8.6%) 순이었다.

공공 부문 임금근로 일자리(268만개)는 15.7%를 차지했다. 일자리 수는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