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가구 소득, 홑벌이의 1.4배… 소비는 1.2배

맞벌이 가구 소득, 홑벌이의 1.4배… 소비는 1.2배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5-11-29 23:28
업데이트 2015-11-30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硏 소비 특성 보고서

맞벌이 가구 소득이 홑벌이 가구 대비 1.4배 높고, 소비 지출은 1.2배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 김천구 선임연구원이 29일 통계청의 ‘2014년 연간 가계동향조사’를 분석해 내놓은 ‘맞벌이 가구 현황과 소비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맞벌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32만 6000원으로 홑벌이 가구(380만원)보다 40.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에서는 맞벌이 가구가 294만 3000원으로 홑벌이 가구(239만 5000원) 대비 22.9%를 더 썼다. 가구주 평균 연령은 맞벌이 가구가 홑벌이 가구보다 4.1세 어렸고, 평균 가구원수는 0.3명 많았다. 맞벌이는 전체 1205만 3000가구 중 502만 8000가구로 전체의 41.7%였다.

소비 패턴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맞벌이 가구는 전체 지출의 13.2%를 자녀 교육비에 투자했다. 홑벌이 가구(10.3%)보다 2.9% 포인트 높다. 이는 부모가 일하는 시간에 자녀가 학원에 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홑벌이 가구의 경우 교육비에 쓸 여윳돈이 상대적으로 적은 탓도 있다.

반면 오락·문화비에서는 홑벌이 가구의 지출 비중이 5.8%로 맞벌이 가구(5.2%)보다 좀 높았다. 김 연구원은 “맞벌이 가구가 상대적으로 여가를 즐길 시간이 부족한 탓”이라고 해석했다. 맞벌이 가구는 전체 지출의 19.9%를 교통·통신비에 사용했고 홑벌이가구는 18.8%였다.

식료품 구입비 비중은 홑벌이 가구가 15.0%, 맞벌이 가구가 13.4%를 차지했다. 외식·숙박비 비중은 맞벌이 가구가 13.7%로 홑벌이 가구(12.6%)보다 컸다. 김 연구원은 “맞벌이 가구는 집에서 음식을 하는 대신 외식을 하며 시간을 아낀다”면서 “맞벌이 가구가 계속 늘면서 시간절약형 소비나 자녀 양육을 위한 소비도 증가할 것으로 보여 관련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11-30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