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 협상 일지…공동연구에서 비준까지

한중 FTA 협상 일지…공동연구에서 비준까지

입력 2015-11-30 17:13
업데이트 2015-11-30 17: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이 30일 국회를 통과했다.

한·중 FTA는 2005년 민간 공동연구가 시작된 이래 2014년 11월 실질 타결 선언, 2015년 2월 25일 가서명을 거쳤다. 지난 6월1일 정식 서명이 됐고 6월4일 국회에 제출됐다.

야당이 국회 본회의 개최에 합의하지 않으면서 비준 동의가 늦어지다가 이날에서야 통과됐다.

한·중 FTA는 향후 양국이 국내 절차를 마무리했음을 서면으로 상호 통보하는 날로부터 60일 후나 양국이 합의하는 날에 발효하게 된다.

다음은 한중 FTA 협상 관련 일지.

▲ 2004.9. = 아세안+3 경제장관 회의 계기로 열린 한중 통상장관회담 통해 민간공동연구 합의

▲ 2005. = 중국 국무원발전연구중심(DRC)과 대외경제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 2006.11. = 민간공동연구 종료

▲ 2006.11.17. = 한중 통상장관, 2007년부터 FTA 산관학 공동연구 개시 합의

▲ 2007.3.22∼23.=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 제1차 회의(베이징)

▲ 2007.7.3.∼4. =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 제2차 회의(서울)

▲ 2007.10.23.∼25. =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 제3차 회의(웨이하이)

▲ 2008.2.18.∼20. =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 제4차 회의(제주)

▲ 2008.6.11.∼13. =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 제5차 회의(베이징)

▲ 2010.2. =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 수석대표간 협의(베이징)

▲ 2010.5.28. = 산관학 공동연구 종료 관련 양해각서 서명(서울)

▲ 2010.9.28.∼29. = 한중 FTA 정부간 사전협의 제1차 회의(베이징)

▲ 2011.4.11. = 한중 통상장관 회담(베이징)

▲ 2012.2.24. = 한중 FTA 공청회

▲ 2012.3.1.∼2. = 한중 FTA 추진 관련 사전 실무협의(서울)

▲ 2012.3.22.∼23. = 한중 FTA 추진 관련 사전 실무협의(베이징)

▲ 2012.5.14. = 한중 FTA 제1차 협상(베이징), 협상세칙 확정

▲ 2012.7.3.∼5. = 한중 FTA 제2차 협상(제주)

▲ 2012.8.22.∼24. = 한중 FTA 제3차 협상(웨이하이)

▲ 2012.10.20.∼11.1. = 한중 FTA 제4차 협상(경주)

▲ 2013.4.26.∼28. = 한중 FTA 제5차 협상(하얼빈), 양국 새 정부 출범 후 첫 협상…FTA 추진 의지 재확인

▲ 2013.7.2.∼4. = 한중 FTA 제6차 협상(부산)

▲ 2013.9.3.∼5. = 한중 FTA 제7차 협상(웨이팡), 1단계 협상 마무리

▲ 2013.11.18.∼22. = 한중 FTA 제8차 협상(인천)

▲ 2014.1.6.∼10. = 한중 FTA 제9차 협상(시안), 우리 측 양허 개요 제시

▲ 2014.3.17.∼21. = 한중 FTA 제10차 협상(고양)

▲ 2014.5.26.∼30. = 한중 FTA 제11차 협상(쓰촨성), 양측 2차 양허안 교환

▲ 2014.7.3. = 한중 정상회담, ‘FTA 연내 타결 노력 강화’ 합의

▲ 2014.7.14.∼18. = 한중 FTA 제12차 협상(대구), 서비스·투자 자유화방식 원칙적 합의

▲ 2014.9.22.∼26. = 한중 FTA 제13차 협상(베이징), 규범·협력 분야 등 4개 장(章) 타결

▲ 2014.11.6.∼10. = 한중 FTA 제14차 협상(베이징)

▲ 2014.11.10. = 양국 정상, 한중FTA 실질적 타결 선언(베이징)

▲ 2015.2.25 = 한중 FTA 협정문 가서명, 협정문(영문본) 공개

▲ 2015.3.25 = 한중 FTA 협정문 국문본 초안 공개…국민의견 접수

▲ 2015.5.26 = 국무회의 한중 FTA 안건 의결

▲ 2015.6.1 = 한중 통상장관 회담서 FTA 협정문 정식 서명, FTA 협상 3년 만에 서명 절차 마무리.

▲ 2015.6.4 = 한중 FTA 협정문 국회 제출

▲ 2015.8.31 = 한중 FTA 협정문 국회 외교통일위 상정

▲ 2015.11.18 = 한·중 FTA 여·야·정 협의체 1차 회의

▲ 2015.11.20 = 한·중 FTA 여·야·정 협의체 2차 회의

▲ 2015.11.23 = 한·중 FTA 여·야·정 협의체 3차 회의

▲ 2015.11.30 = 한·중 FTA 협정문 국회 비준동의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