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부문 한중 FTA 효과 제한적…국내업계 ‘무덤덤’

유화부문 한중 FTA 효과 제한적…국내업계 ‘무덤덤’

입력 2015-11-30 18:05
업데이트 2015-11-30 18: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중 FTA국회비준관련 여야회담이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리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한중 FTA국회비준관련 여야회담이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리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이 30일 국회에서 통과돼 연내 발효를 앞둔 가운데 정유 및 석유화학업계는 무덤덤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중 FTA 협상에서 우리 정부가 농산품 보호에 치중하다보니 중국 측 역시 우리 주력 수출품목인 석유화학 제품 대부분을 민감품목으로 지정해 수출 증대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양국 석유화학제품 관세율은 평균 5.6%로 동일한 수준이다.

2012년 기준 우리나라의 대중국 석유화학 수출 규모는 217억달러, 수입은 17억달러로 수출이 수입 보다 13배 이상 큰 흑자산업이다.

우리나라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 레진(ABS) 등 합성수지와 파라자일렌(P-X), 스티렌모노머(SM) 등 중간원료를 주로 수출하고 있다.

수입은 국내 공급이 부족한 실리콘수지, PET칩, PVC 등 합성수지가 주종이다.

한중 FTA 협상 결과 중국은 전체 석유화학제품 중 84%에 대해 시장을 개방키로 했고 16%는 양허 제외 및 부분감축 품목으로 분류했다.

우리나라는 전체의 98%에 해당하는 품목을 개방하고 2%만 양허안에서 제외했다.

구체적으로 중국은 범용제품의 자급률 확대를 위해 에틸렌과 프로필렌은 10년 내 관세 철폐 품목으로 분류했고 자국 내에 신·증설 중인 P-X와 테레프탈산(TPA)은 아예 양허안에서 제외했다.

반면 한국은 PE와 ABS 등 합성수지와 합성고무 대부분 품목을 개방키로 했다. 우리 대기업이 주로 생산하고 중소 플라스틱·고무업체가 원료로 많이 쓰고 있어 시장 개방에 따른 피해가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초산에틸과 트리에틸아민 등 우리 중소기업 생산제품과 대 중국 무역수지 적자폭이 큰 초산 등만 양허안에서 제외됐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대 중국 석유화학 주요 수출품목은 10∼20년 단계적 철폐 또는 양허 제외가 대부분이다”면서 “반면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석유화학 제품은 대부분 즉시 관세철폐로 합의됐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수출량이 많은 PX, 중국의 관세율이 높은 PE 등 주요 제품이 양허제외 품목으로 지정돼 관세 축소 효과는 거의 없고 수출 증대 효과 역시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석유제품도 상황이 비슷하다.

중국은 현행 관세율이 5.6%와 6%인 아스팔트와 윤활기유를 민감품목으로 분류, 15년 내 관세를 없애기로 했다. 반면 우리 정부는 각각 5년 내 관세 철폐에 합의했다.

정유업계는 아스팔트와 윤활기유의 경우 10년 이내 중국 수입 관세 철폐를 주장했으나 한중 FTA 최종 협상안에서는 15년 내 철폐로 뒷걸음질쳤다.

우리 정부는 휘발유와 경유 등 경질유 제품을 민감품목으로 지정해 중국 측의 시장잠식 우려에 대비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아스팔트와 윤활기유 등이 15년 내 관세 철폐 품묵으로 분류되면서 현재 수입관세 0%가 적용 중인 싱가포르나 태국 제품에 비해 경쟁력 열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