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재테크 비결은 ‘고액 연봉’?

한은 총재 재테크 비결은 ‘고액 연봉’?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18-03-15 23:26
업데이트 2018-03-16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임 4년간 재산 증액 8억대…예금 증가액이 절반가량 차지

기본급·상여금 합쳐 연봉 3억
대통령·국무위원보다도 높아

통화정책을 주무르는 한국은행 총재의 위상은 연봉에서도 드러난다. 심지어 문재인 대통령보다 1.5배 이상 더 받는다. 연임을 앞둔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 4년의 재임 기간 재산을 8억원 이상 불리는 데도 고액 연봉이 톡톡한 역할을 했다.

15일 한은 등에 따르면 이 총재는 본인과 배우자, 장녀 명의로 보유한 재산이 모두 26억 4800만원이라고 신고했다. 2014년 취임 당시보다 8억 5800만원이 늘어난 것이다. 이 중 예금 증가액이 4억 786만원으로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이 총재가 국회에 제출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 따르면 지난해 연봉은 기본급 2억 9027만원, 성과상여금 5797만원 등 총 3억 4825만원이다. 앞서 이 총재는 2016년에 3억 3950만원, 2015년에는 3억 666만원을 각각 받았다.

정부로부터 독립성을 보장받고 있는 한은의 총재 연봉은 대통령이나 국무위원보다 훨씬 많다. 공무원 보수 규정에 따르면 올해 문 대통령 연봉은 2억 479만원, 이낙연 국무총리 연봉은 1억 7427만원이다. 다만 한은 총재는 공무원연금 지급 대상이 아니라는 차이가 있다. 또 지난해 19만 9700달러(약 2억 227만원)를 받은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의 연봉보다는 많고, 2016년 기준 87만 9485파운드(약 13억 782만원)인 영국 중앙은행 총재의 연봉보다는 적다.

한편 이 총재는 재임 기간 여야 국회의원들에게 정치후원금을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재 측은 “공개 대상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정치자금법에 따라 연간 300만원 이하 후원금은 비공개 대상이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8-03-16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