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이자 빼면 가계소득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물가·이자 빼면 가계소득 증가율 여전히 ‘마이너스’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5 10:46
업데이트 2018-04-15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4분기 실질소득 1.6% 증가 전환에도 실질처분가능소득은 2.8%↓

실질소득이 증가세로 전환했다지만 이자, 사회보험료 등까지 고려하면 실제 가계가 쓸 수 있는 소득은 여전히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득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1.6%를 기록했다.

가계 실질소득 증가율은 2015년 2분기(2.3%)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 전환했다.

2015년 3분기∼2016년 2분기까지 보합세를 보인 가계 실질소득은 2016년 3분기 -0.1%로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2016년 4분기와 2017년 1분기엔 감소율이 -1.2%까지 확대됐다.

그나마 지난해 2분기 -1.0%, 3분기 -0.2%로 감소율을 줄여나가다가 작년 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그러나 실질처분가능소득은 여전히 부진했다.

가계의 월평균 실질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4분기 2.8% 줄었다.

실질처분가능소득은 가계의 소득에서 이자, 사회보험료,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에 물가 상승분을 반영한 것이다.

가계의 실제 구매력과 연관이 깊다.

실질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2015년 4분기(0.8%)를 끝으로 내리막길 일로를 걷고 있다.

그나마 2016년에는 실질처분가능소득 증가율 마이너스 폭이 줄어들고 있었다.

2016년 1분기 -1.5%에서 2분기 -1.2%, 3분기 -0.9%에서 4분기 -0.7%로 감소 폭이 점차 쪼그라들었다.

그러나 작년 1분기 가계의 실질처분가능소득은 1년 전보다 3.1% 줄어들더니 2분기에도 -3.1%, 3분기에는 -5.1%로 감소 폭이 커졌다.

실질처분가능소득이 줄어든 것은 세금, 사회보험료와 같은 비소비지출이 늘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가계의 월평균 명목 소득은 3.1% 늘었는데 비소비지출은 더 큰 폭인 12.5%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에서도 연금(3.8%), 사회보험료(3.7%), 이자비용(7.7%), 가구 간 이전지출(46.7%) 등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국회예산정책처 관계자는 “실질소득 증가는 내수 진작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라면서도 “실질처분가능소득이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어서 가계소득 개선 추이가 지속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