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대상 예금잔액 2천조 돌파…금리 상승·증시 호조 때문

예보 대상 예금잔액 2천조 돌파…금리 상승·증시 호조 때문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9 16:06
업데이트 2018-04-19 16: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금보험 적용되는 은행예금 1천198조원…1년 새 57조원 늘어

예금보험이 적용되는 예금 잔액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2천조 원을 넘어섰다.

예금금리 상승으로 은행과 저축은행 예금이 늘었고 증시 호조로 증권사로도 돈이 몰린 덕분이다.

19일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금융권의 부보예금(예금보험이 적용되는 예금) 잔액은 2천17조3천억 원을 기록했다. 2016년 말(1천900조2천억 원)과 비교해 117조1천억 원(6.2%)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로는 43조7천억 원(2.2%) 늘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의 부보예금이 1천198조1천억 원으로 전년 말 대비 약 57조3천억 원(5.0%) 늘었고, 저축은행도 50조6천억 원으로 6조2천억 원(14.0%)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은행과 저축은행 예금금리가 올라가 요구불·저축성 예금액이 늘었기 때문이다.

은행의 저축성 수신 월중 평균 금리는 지난해 3월만 해도 연 1.49%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에는 연 1.81%까지 올라왔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예금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높고, 저축은행 사태 후 경영상황도 좋아지면서 5천만 원을 초과해 예금자 보호를 받지 못한 예금이 5조4천억 원을 기록, 1년 전보다 9천억 원 늘었다.

여기에 수출 호조의 영향으로 수출업체 등의 외화예수금(81조9천억 원)도 17조1천억 원(26.4%) 증가했다.

증시 호황의 영향으로 증권회사 위탁자예수금이 늘면서 금융투자업의 부보예금(31조5천억 원)은 4조8천억 원(17.9%) 늘었다.

또 보험업권의 부보예금 잔액은 736조 원으로 48조9천억 원(7.1%) 증가했다.

기존 보험계약의 보험료 유입으로 보험업권 부보예금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보험시장 성장세 둔화로 부보예금 증가율은 전년(10.1%)보다 둔화했다.

한편 예금보험공사는 금융회사로부터 지난해 1조7천억 원의 예금보험료를 받아, 예금보험기금 12조7천억 원을 적립해 놓은 상태다.

부보금융회사는 294개사였다. 2016년과 비교해 6개 회사가 새로 들어왔고, 외국계 금융회사 국내 지점 등 4개사가 없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