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집 중 세 집 女가구주… 미혼이 144만

열 집 중 세 집 女가구주… 미혼이 144만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8-07-02 17:40
업데이트 2018-07-02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8 통계로 본 여성의 삶

비혼·만혼에 10년새 47.8% ↑
여성 연상 부부도 꾸준히 늘어
고용률 50.8%… 비정규직 증가
월급은 남성의 67%, 230만원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가구주 10명 가운데 3명은 여성이었다. 미혼 여성 가구주도 지난 10년 새 50% 가까이 늘었다.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18 통계로 본 여성의 삶’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가구의 30.7%는 여성 가구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가구주는 2000년 268만 3000가구에서 올해 607만 2000가구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특히 미혼 여성 가구주는 2008년 97만 2000여명에서 올해 143만 6000여명으로 47.8% 증가했다.

미혼 여성 가구주 가운데 39.9%(57만 3000여명)가 20대였다. 나이가 들수록 미혼 여성 가구주의 비율은 줄었지만, 증가 폭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컸다. 10년 전에 비해 미혼 여성 가구주는 40대가 2.4배, 50대 3배, 60대 이상은 4배 증가했다.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이나 늦게 결혼하는 만혼 증가가 미혼 여성 가구주 확대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혼인 상태별로 여성 가구주의 구성비를 보면 미혼, 유배우, 이혼은 증가하고 있지만 사별은 감소하고 있다. 통계청은 2030년까지 여성 가구주가 34.8% 정도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여성 1인 가구 증가세도 여전했다. 올해 여성 1인가구는 284만 3000여가구로 전체의 49.5%를 차지했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세대는 여성에선 70대 이상, 남성은 30대였다. 통계청은 2016년을 기점으로 남성 1인 가구가 여성 1인 가구를 앞섰고, 2035년엔 남성 1인 가구가 여성 1인 가구보다 4.4% 포인트 더 많을 것으로 예상했다.

‘삼포 세대’(연애·결혼·출산은 포기한 세대)를 반영하듯 지난해 혼인 건수는 10년 전보다 22.4% 감소했다. 여성의 초혼연령은 평균 30.2세였다. 지난해 출생아(35만 7000명)는 처음으로 40만명 선이 무너졌다. 여성이 연상인 부부는 3.9% 포인트 증가했다. 여성 연상 부부는 2013년 이후 동갑내기 혼인 건수보다 꾸준히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배우자나 가족에 대한 만족도는 여성이 전체적으로 남성에 비해 낮았다. 2016년 기준 부인에게 만족하는 남성은 71.3%나 됐지만 부인은 58.5%만이 남편과의 관계에 만족했다. 전반적인 가족 관계에 대해서도 여성의 54.7%만이 ‘만족한다’고 응답해 남성(58.3%)보다 3.6% 포인트 낮게 나타났다.

지난해 여성 고용률은 50.8%로 남녀 고용률 격차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여성의 월 근로시간은 173시간으로 남성(185.4시간)보다 짧았으며, 월평균 임금도 남성의 67.2%(229만 8000원)에 그쳤다. 여성 임금근로자 881만 8000여명 가운데 비정규직은 363만 2000여명(41.2%)으로 남성 비정규직(26.3%)에 비해 14.9% 포인트 높았다. 여성 비정규직 비중은 2014년(33.9%) 이후 계속 상승하고 있다. 임시직 비율도 여성(26.4%)이 남성(12.9%)보다 높았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8-07-03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