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연료’ 등유 7년만에 최고폭 상승…전체 물가는 2.0%↑

‘서민연료’ 등유 7년만에 최고폭 상승…전체 물가는 2.0%↑

강경민 기자
입력 2018-12-04 09:23
업데이트 2018-12-04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물가 두 달째 2%대 상승…개인서비스요금은 2.5% 상승

유류세 인하로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 가격이 내렸지만, 지난해 도시가스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전체 물가가 두 달 연속 2%대 상승을 기록했다.

특히 서민들이 많이 쓰는 등유는 유류세 인하 대상에서 빠지며 6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18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3(2015년=100)으로 작년 11월보다 2.0% 상승했다.

12개월째 1%대를 유지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 10월 2.0%를 찍으며 2%대에 올라선 데 이어 11월에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두 달 이상 연속으로 2%대를 유지한 것은 작년 7∼9월 이후 처음이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농산물이 14.4% 상승해 전체 물가를 0.60%포인트 끌어 올렸다. 채소류 역시 14.1% 올랐다.

농산물과 채소류 가격 상승 폭은 전월(14.1%, 13.7%) 수준을 소폭 웃돌았다.

생강(89.8%), 호박(50.5%), 토마토(44.4%), 당근(37.5%), 파(35.6%), 쌀(23.8%) 등의 상승이 가팔랐다.

다만 축산물은 1.5% 하락했다. 달걀(-14.3%), 돼지고기(-4.4%) 등의 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공업제품은 1.5% 올라 전체 물가를 0.47%포인트 높였다.

10월(2.0%)보다 상승 폭이 줄어든 것으로, 통계청은 일부 유류세 인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했다.

정부는 유가 상승에 따른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난달 6일부터 휘발유·경유·액화석유가스(LPG) 부탄에 부과되는 유류세를 6개월간 약 15% 낮췄다.

석유류는 6.5% 올라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 높였지만 10월(11.8%)보다 상승 폭이 축소된 이유다. 경유는 9.1%, 휘발유는 5.1% 오르며 역시 전월(13.5%, 10.8%)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유가 정보 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4일 현재 휘발유 ℓ(리터)당 전국 평균가격은 1천484.58원이다. 지난달 1일 평균가격 1천690.17원보다 크게 하락했다.

그러나 유류세 인하 대상에서 빠진 등유는 16.4%나 올랐다. 2011년 12월 19.0%를 기록한 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오름세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등유 개별소비세 인하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휘발유, 경유 등 수송용 유류보다 낮은 세율을 적용하고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난방용 등유에 대한 예산 지원사업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는 것이 기재부의 설명이다.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1.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06%포인트 끌어 올렸다. 작년 10월∼올해 10월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도시가스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개인서비스요금은 2.5% 올라 전체 물가를 0.79%포인트 높이는 효과가 났다.

체감물가를 보여주기 위해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10.4% 올랐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물가상승률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3% 상승했다.

물가상승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1% 올랐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유류세 인하 효과가 일부 있었지만 농산물과 서비스 물가가 오르고 도시가스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두 달 연속 2%대 물가 상승률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