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스럽다고? ‘깔맞춤 패션’ 화려한 부활

촌스럽다고? ‘깔맞춤 패션’ 화려한 부활

심현희 기자
입력 2019-05-05 17:54
업데이트 2019-05-06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레트로 열풍 1970~80년대 스타일 유행

위아래 색깔 맞춘 ‘청청 패션’ 대표적
채도·명도 차이 둔 톤온톤 코디 대세
이미지 확대
톤온톤으로 깔맞춤한 남성복 로가디스.  삼성물산 패션부문 제공
톤온톤으로 깔맞춤한 남성복 로가디스.
삼성물산 패션부문 제공
레트로(복고) 열풍이 글로벌 패션계를 강타하면서 촌스러움으로 여겨졌던 ‘깔맞춤’ 패션이 화려하게 부활했다.

위아래 색깔을 맞추는 깔맞춤 패션은 1970~80년대 멋쟁이들 패션으로 유행했다. 대표적인 것이 청바지 위에 청재킷이나 청남방을 입는 ‘청청 패션’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믹스앤드매치 컬러가 대세로 떠오르며 깔맞춤은 ‘복학생 패션’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명품 브랜드 쇼나 스타들이 깔맞춤 의상을 선보이면서 ‘뉴트로’를 대표하는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5일 인스타그램에 깔맞춤 해시태그를 넣으면 약 16만개의 게시글이 쏟아져 나온다. 지난 2월 영국 런던패션위크 행사에서 열린 버버리 컬렉션 쇼에서는 배우 최지우가 ‘청청 패션’ 위에 체크 코트를 걸치고 나타나 이목을 끌었고,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은 미국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 가든 아레나에서 열린 2019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달 29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면서 의상부터 마스크까지 모든 색상을 검은색으로 맞춘 ‘공항패션’을 보여 화제가 됐다.

밀레니얼 시대 깔맞춤은 같은 색상에서 채도나 명도 차이를 주어 코디하는 톤온톤 코디가 대세다. 과거 강렬한 깔맞춤보다는 자연스럽고 은은한 분위기를 풍기는 게 특징이다. 에르메스, 르메르, 아미 등 글로벌 브랜드도 이번 봄, 여름 시즌 톤온톤 코디를 무대에 올렸다.

삼성물산 패션부문 관계자는 “톤온톤 코디를 할 때는 톤의 폭을 너무 좁지 않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톤의 밝고 어두움의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하나의 컬러로 표현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9-05-06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