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 54% “1년 뒤 서울 집값 상승” 판단

부동산 전문가 54% “1년 뒤 서울 집값 상승” 판단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7-07 13:51
업데이트 2019-07-07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DI 경제동향’ 2분기 설문조사…1분기 때와 판단 바뀌어

이미지 확대
내 집 마련의 꿈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국내에서 내 집 마련을 처음 하는 연령은 평균 43.3세, 집값의 38%는 대출로 마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 지역 모습. 서울신문DB
내 집 마련의 꿈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국내에서 내 집 마련을 처음 하는 연령은 평균 43.3세, 집값의 38%는 대출로 마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아파트 밀집 지역 모습.
서울신문DB
부동산 전문가들의 절반 이상이 1년 뒤 서울의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3개월 전 조사 때는 절반 이상이 ‘하락’에 표를 던진 바 있다.

7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동향’ 7월호에 실린 2019년 2분기 부동산시장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문가 106명(응답 기간 지난달 20∼26일)의 53.8%가 1년 뒤 서울 주택매매가격이 현재보다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와 같을 것이라는 예상은 21.7%였고,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은 24.5%였다.

이는 3개월 전 1분기 설문조사 결과와는 크게 달라진 모습이다.

당시 전문가들의 59.4%가 1년 뒤 서울 주택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한 바 있다.

서울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이 높은 상태라고 응답한 전문가들의 비율은 39.6%로 전분기(31.1%)보다 더 많아졌다.

전문가들은 현행 수준의 금융규제와 세제 관련 부동산 정책을 대체로 지지했다.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세대별 주택담보대출 건수 등 금융규제에 대해 현행 유지라고 답변한 비율은 각각 70.8%, 67.9%, 53.8%로 높았다.

보유세와 관련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모두 현행을 유지하자는 의견은 각각 57.5%, 44.3%로 역시 다수였다.

반면 거래와 관련한 취·등록세는 완화하자는 의견이 58.5%였다. 양도세는 현행 유지(46.2%) 의견이 가장 많았지만, 완화(41.5%) 의견도 상당수였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와 올해부터 다시 시행된 전·월세 등 임대료에 대한 소득세는 현행 유지 의견이 각각 67.0%, 42.5%로 다수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