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19 잘 제어하고 있지만 언제든 확산할 수 있어”

정부 “코로나19 잘 제어하고 있지만 언제든 확산할 수 있어”

강경민 기자
입력 2020-04-13 11:41
업데이트 2020-04-13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활절·총선 영향 확인하려면 일주일간 확진자 추이 면밀히 살펴야”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브리핑하는 김강립 제1총괄조정관
코로나19 브리핑하는 김강립 제1총괄조정관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이 1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0.3.17 연합뉴스
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국내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성공적으로 제어되고 있지만, 현 상황에서 방심한다면 언제든 재확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전날 신규 확진자는 25명으로 다행히 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한 주를 시작하게 됐다”며 “그러나 지난 주말 부활절 종교행사나 총선 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일주일간 확진자 추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우리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느슨히 한다면 그 결과는 며칠 뒤, 몇 주 뒤에 우리가 감당하기 어려운 결과로 돌아올 수 있다”며 “코로나19의 확산을 성공적으로 지연시키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코로나19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방심한 틈을 타 언제든 다시 확산할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점을 기억해달라”며 “많은 국가에서 신규 확진자가 일관되게 내리막 곡선을 그리지 못하고 오르락내리락하는 물결 모양을 그리고 있고, 방역 모범국이라고 평가받던 국가에서도 일순간에 확진자가 증가하는 등 코로나19의 확산세가 확실히 잡히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월 하루 발생 확진자가 한 자릿수를 유지하다가 31번째 환자 발생 이후 하루 만에 20명, 그 뒤로 열흘 만에 800명을 기록했던 경험을 떠올린다면 한순간의 방심이 얼마나 큰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9일까지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기간으로 정했다. 그 이후에 국내 의료·방역체계가 충분히 감당할만한 수준으로 코로나19를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나오면 ‘생활방역체계’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지만 전환 시기에 대해서는 신중함을 유지하고 있다.

김 총괄조정관은 “이번 주에도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신규 확진자 수가 50명 이내로 꾸준히 유지될 수 있도록 경계를 늦추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철저히 실천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