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대신 명품 샀다… 백화점 판매 32% 급증

해외여행 대신 명품 샀다… 백화점 판매 32% 급증

나상현 기자
입력 2020-08-30 21:14
업데이트 2020-08-31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에 보상 소비… 7월 매출 명품만↑
편의점 3.7% 늘고 대형마트는 5.5% 줄어

이미지 확대
코로나19로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해외 명품’만 나홀로 고공행진이다. 해외여행 경비로 쓰일 자금이 명품 소비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7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롯데·현대·신세계 등 3개 백화점 전체 매출은 전년 같은 달보다 2.1% 감소했지만, 명품과 같은 해외 유명 브랜드 매출은 오히려 32.5% 급증했다. 최근 1년 사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명품 소비는 다른 오프라인 소비와 다른 행보를 보여 왔다. 지난해 20%대 증가율을 보였던 해외 유명 브랜드 매출은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된 지난 2월 4.2%로 떨어진 뒤 3월엔 마이너스(-19.4%)로 치달았다. 그러나 4월부터 플러스(8.2%)로 돌아선 뒤 5월(19.1%)과 6월(22.1%) 증가폭이 크게 커졌다. 코로나19로 여행 등 다른 소비가 틀어 막힌 상황에서 ‘보상 소비’의 일종으로 명품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다른 오프라인 유통업체 중에서는 편의점 매출만 지난해 대비 3.7% 증가했다. 긴 장마 기간으로 우산과 제습제 판매가 늘면서 생활용품(14.3%) 매출이 증가했고, 구글 기프트카드 등 편의점 상품권 수요도 증가해 잡화(8.5%) 판매량도 늘었다.

반면 이마트에브리데이·롯데슈퍼·GS더후레쉬·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4개 준대규모 점포(SSM)는 11.9%,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3개 대형마트는 5.5% 줄었다. 모두 코로나19와 긴 장마로 외부 활동 자체가 줄어든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08-31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