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허허벌판 사진 한장으로 개척한 해외자원…두둑한 배당금 ‘효자’ 노릇

허허벌판 사진 한장으로 개척한 해외자원…두둑한 배당금 ‘효자’ 노릇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3-10-14 07:00
업데이트 2023-10-14 07: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태준 사장, 영일만 공장부지에 세운 영어간판 사진으로 담판
호주 원료사들 ‘냉담’…해머슬리와 첫계약에 日과 동일 조건

이미지 확대
영일만 허허벌판에 선 공장 간판. 박태준 사장이이런 사진으로 호주에서 철광석 원료 확보를 위한 협상을 벌였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영일만 허허벌판에 선 공장 간판. 박태준 사장이이런 사진으로 호주에서 철광석 원료 확보를 위한 협상을 벌였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1971년 7월 28일 박태준 포항제철 사장은 호주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영일만에 짓는 제철소에 공급할 원료인 철광석과 석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는 세계적인 철광석 및 원료탄 공급사인 해머슬리, 마운트 뉴먼, 벨람비, 콜린, 클루사 등의 문을 차례로 두들겼다. 준비해 간 자료라고는 제철소 설립 및 운영 청사진과 영일만에서 정지작업을 하는 사진뿐이었다. 당시 포항제철이라는 회사가 가져온 사진에는 허허벌판에 영어로 제선공장(Iron Making Plant), 제강공장(Steel Making Plant), 열연공장(Hot Strip Mill)이라고 큼직하게 쓴 표지판을 세우고 그것을 찍은 것이 전부였다. 건물은커녕 작업자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황당하다.

당시 호주의 원료 공급사들은 ‘듣보잡’ 같은 포항제철에 냉담했다. 포항제철은 주한 호주대사관의 도움으로 호주탄광협회를 찾아가 설득했다. 하지만 “2차대전 이후 신설 제철소가 약속대로 계약을 이행한 예가 없었다”며 원료사들은 강경하게 푸대접했다. 그들은 개발도상국에서의 제철소 건설은 성공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고, 성공하더라도 공기가 6개월에서 1년 정도 지연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포항제철의 주장만 믿고 원료를 생산해 보냈다고 투자금을 적기에 확보하지 못하면 막대한 손실을 보게 된다며 부정적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터키나 브라질 같은 개도국들의 제철소 건설이 자꾸 지체됐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69년 6월 9일 포항제철 제1고로가 첫 쇳물을 뿜어내는 모습(왼쪽)과 이를 지켜보던 박태준(가운데) 사장 등 관계자들이 만세를 외치는 모습. 포스코홀딩스 제공
69년 6월 9일 포항제철 제1고로가 첫 쇳물을 뿜어내는 모습(왼쪽)과 이를 지켜보던 박태준(가운데) 사장 등 관계자들이 만세를 외치는 모습.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 50년 통사’에 따르면 협상이 답보 상태에 빠지자 박태준 사장은 재차 해머슬리를 찾아가 마지막 담판을 집요하게 벌여 마침내 원료 공급 약속을 받아냈다. 그는 호주 석탄업계 ‘거물’ E. J. 벨람비 사장과 접촉해 ‘사우스 불리’탄을 수입하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에 비해 소량 구매임에 일본과 동일한 가격 및 조건으로 공급받을 수 있었다. 당시 1년에 1억t을 생산하는 일본과 같은 조건은 무척 파격적인 대우였다.

포항제철은 원료 확보 2년 뒤인 1973년 6월 9일 제1고로(용광로)에서 쇳물을 뽑아내는 첫 ‘출선’에 성공했다. 기쁨도 잠시, 그해 가을 세계 경제를 마비시킨 제1차 석유파동이 닥쳤다. 하지만 포스코는 가동 초기에 맞은 석유파동에도 적자를 내지 않고 조업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안정적인 원료 확보 때문이었다.

포스코홀딩스의 해외 자원 개발, ‘효자’ 노릇 주목
호주 로이힐 투자액, 13년 9개월에 투자액 모두 회수
우수한 원료 자급도…‘주주 할인액’에 안정적 확보

이미지 확대
서호주 퍼스에서 북쪽으로 1000km 떨어진 로이힐 광산에서 철광석을 채굴해 적재하는 모습. 포스코홀딩스 제공
서호주 퍼스에서 북쪽으로 1000km 떨어진 로이힐 광산에서 철광석을 채굴해 적재하는 모습. 포스코홀딩스 제공
허허벌판 사진 한 장으로 개척한 포스코그룹의 해외 자원 확보 사업이 ‘효자’ 노릇을 하며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홀딩스의 해외 자원 확보는 장기 계약에서 직접 투자에 이른다. 13일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회사는 호주 최대 철광산 광산인 로이힐로부터 올해 3분기 배당금으로 850억원을 받았다. 포스코가 로이힐에 투자한지 13년 9개월 만에 투자비 1조 3000억원 전액을 회수했다.

자원 빈국인 우리로서는 철강 제품의 제조 원가의 60~70%를 원료 가격이 차지하고 있어 원가 경쟁력 강화하고, 안정적인 원료 수급을 위해서는 원료 확보가 중요하다. 세계 철광석 시장은 브라질 발레, 호주 리오틴토, BHP, FMG 등 4개사가 70% 이상 장악한 과점 시장이다. 이들 가운데 한 곳에서 생산 차질이 생기면 전 세계 철광석 회사들은 직격탄을 맞는 구조다.
이미지 확대
포항제철소 가동을 위해 박태준(왼쪽) 사장이 1969년 6월 7일 돋보기로 햇빛을 모아 채화봉에 불을 피우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항제철소 가동을 위해 박태준(왼쪽) 사장이 1969년 6월 7일 돋보기로 햇빛을 모아 채화봉에 불을 피우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홀딩스는 2010년 1월 서호주 퍼스에서 북쪽으로 1000㎞ 떨어진 필바라 지역에 위치한 호주 최대의 철광석 광산인 로이힐에 투자했다. 로이힐의 철광석 매장량은 23억t으로 추산된다. 포스코홀딩스의 지분은 12.5%로, 호주 행콕(70%), 일본 마루베니상사(15%)에 이어 3번째다. 중국 차이나스틸이 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로이힐 철광석 투자 결정은 당시 포스코 원료 투자에서 사상 최대 규모였다.

이 광산은 연간 6300만톤의 생산체제를 갖춤에 따라 포스코홀딩스는 연간 1500만t의 철광석을 주주로서 구매할인 금액으로 자급할 수 있게 됐다. 이는 포스코의 연간 철광석 소요량의 20% 이상에 해당되는 물량이다.

포스코홀딩스, 자원개발에 21건 투자 진행中
투자 회수율 130% 이상…원료 자급률 40%

이미지 확대
포스코홀딩스의 대표적 해외 자원 투자 개발 성공 사례. 포스코홓딩스 제공
포스코홀딩스의 대표적 해외 자원 투자 개발 성공 사례. 포스코홓딩스 제공
상업생산을 본격화한 로이힐은 2020년 9월(3분기) 첫 배당을 지급하면서 분기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첫배당으로 당시 포스코는 500억원을 받았다. 포스코홀딩스는 13분기동안 누적 배당금은 1조 1300억원을 수령했다. 주주로서 포스코홀딩스는 우수한 품질의 철광석을 할인 구매 금액까지 합치면 투자비 전액을 수령한 것이다. 다음분기부터 수령하는 배당금은 포스코홀딩스에 대박을 안겨주는 효자가 된다.

포스코홀딩스는 1981년 호주 원료탄 광산에 직접 투자를 시작으로 현재 캐나다·브라질·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뉴칼레도니아 등에서 21건의 자원 개발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투자 회수율은 130% 이상이며, 이에 따른 포스코의 원료 자급률은 약 40%에 달한다.
이기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