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휴대전화 4년만에 영업적자

LG전자 휴대전화 4년만에 영업적자

입력 2010-07-28 00:00
업데이트 2010-07-28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폰 대처 못해 1천196억원 적자

 LG전자가 애플발 스마트폰 변혁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것이 결국 2분기 회사 전체의 부진한 실적으로 이어지며 어닝쇼크를 보이게 된 원인으로 분석됐다.

 LG전자가 28일 발표한 2분기 실적을 보면 휴대전화 판매량은 전분기 대비 13% 증가한 3천60만대로 역대 2분기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매출도 전분기 대비 7.4% 증가한 3조 3천727억원을 올렸다.외형으로만 보면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글로벌 3위를 유지하는 등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속을 들여다보면 팔면 팔수록 적자 구조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2분기 영업실적이 1천196억원 적자로 2006년 2분기 이후 4년만에 첫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지난해 2분기 휴대전화 영업이익이 6천억원대,영업이익률이 11%로 두자릿수대를 기록,LG전자 실적 호조를 견인했던 것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을 느낄 정도의 추락이다.

 LG전자는 휴대전화의 영업적자에 대해 “고가 제품군이 스마트폰으로 급속히 교체되면서 LG전자의 고가 휴대전화 판매 비중이 줄어들면서 매출 상승폭이 줄었다”고 진단했다.

 또 “아시아,CIS(독립국가연합),중남미,중동/아프리카 등 신흥시장 물량 확대를 위한 유통망 구축을 비롯한 마케팅 및 스마트폰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 진행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LG전자의 실적은 1~2년 전까지만 해도 세계 휴대전화 시장에서 존재감이 미미했던 대만 HTC의 급부상과 비교하면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아이폰 제조사이면서 구글의 넥서스원을 생산하는 등 스마트폰의 다크호스로 부상한 HTC는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3%가 증가한 2억6천800만달러(약 3천200억원)를 기록했다.

 매출도 18억8천만달러(약 2조2천560억원)로 전년동기 대비 55%나 급증했다.매출로만 따지면 아직 삼성전자보다 훨씬 적지만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추정치는 14.2%로 7%대로 추정되는 삼성전자의 두 배에 달한다결국 스마트폰 시대에 대한 대응이 글로벌 기업의 운명을 갈라놓은 것이다.

 한편 LG전자는 3분기부터 스마트폰 반격에 나설 예정이다.

 제품명을 ‘옵티머스(Optimus)’로 통일,다양한 제품을 시장에 쏟아내겠다고 밝혔다.

 이달말 출시하는 ‘옵티머스Z(모델명: LG-SU950/KU9500)’로 국내 모든 통신사의 안드로이드폰 라인업을 갖추고,3분기부터 ‘옵티머스 원 위드 구글’,‘옵티머스 쉬크(Chic)’,고사양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등 4종을 차례대로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옵티머스 원 위드 구글’은 이미 전 세계 120여 개 통신 사업자를 통해 출시가 확정돼 LG전자의 첫 글로벌 스마트폰 히트모델로 밀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윈도폰7(Windows Phone 7) OS(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 출시를 준비 중이다.

 LG전자 관계자는 “휴대전화 2분기보다 판매량이 늘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스마트폰 라인업 확대가 중장기 실적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3분기를 시작으로 반격에 나서 제자리를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