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스마트폰은 안녕하십니까] ‘오픈소스’ 안드로이드폰 보안장치 안하면 더 위험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녕하십니까] ‘오픈소스’ 안드로이드폰 보안장치 안하면 더 위험

입력 2010-08-07 00:00
업데이트 2010-08-07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안 논란이 일고 있는 아이폰은 물론 안드로이드폰도 스마트폰 해킹 위험에 노출돼 있기는 마찬가지다. 전문가들은 안드로이드폰이 스마트폰용 보안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으면 아이폰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며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월페이퍼, 사용자정보 그대로 유출

안드로이드폰을 판매하고 있는 SK텔레콤은 최근 공식 트위터를 통해 “월페이퍼라는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스파이웨어”라며 아예 사용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표면상으로는 휴대전화 배경화면을 바꿔주는 프로그램일 뿐이지만 이를 설치하면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물론 사용자의 전화번호, 인터넷 접속기록, 인증카드(SIM)번호, 문자메시지 등을 중국에 있는 서버로 빼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1월에는 미국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스마트폰 뱅킹처럼 보이는 ‘droid09’라는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해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해킹하기도 했다.

이처럼 안드로이드폰에서 해킹 등이 빈번히 발생하는 것은 폐쇄적인 아이폰과 달리 개방성을 장점으로 하는 오픈소스 방식이기 때문이다. 안드로이드폰은 누구에게나 건물의 설계도에 해당되는 소스코드를 전면적으로 공개한다. 내부 사정이 속속들이 드러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더 큰 셈이다. 또 다른 오픈소스 방식인 윈도모바일을 사용하는 스마트폰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 최근 지식경제부는 윈도모바일을 사용한 스마트폰을 해킹해 통화내역을 엿들을 수 있다는 사실을 청와대 시연에서 확인하기도 했다.

●악성 어플 배포경로도 다양

또 안드로이드폰은 안드로이드 마켓은 물론 저장장치(SD카드)나 웹에서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어 악성코드가 숨겨진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경로가 다양한 것도 문제. 애플의 심의를 거친 앱스토어를 통해서만 거래가 가능한 아이폰에 비해 위험도가 높은 셈이다. 한 보안 전문가는 “PC에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것처럼 스마트폰에도 모바일용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0-08-07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