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휴대전화 대리점 직영 전환 까닭은?

이마트, 휴대전화 대리점 직영 전환 까닭은?

입력 2010-10-05 00:00
업데이트 2010-10-05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형 할인점에서 휴대전화 대리점 매장까지 직접 운영하고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4일 신세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지난 8월 초 81개 지점에서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 휴대전화 대리점의 입점 형태를 신세계 I&C가 직접 운영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이달 말까지 129개 지점의 휴대전화 대리점도 운영 방식을 전환할 방침이다. 신세계I&C는 IT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계열사로, 업계에서는 사실상 이마트가 직영하는 것으로 여긴다. 이마트 측은 매장 운영 방식 전환에 대해 “고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매장을 통합해 고객이 여러 제품과 서비스를 비교해 보고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원스톱 서비스 제공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통신업계에서는 최근 들어 휴대전화 대리점의 사업성이 높아짐에 따라 할인점이 이를 노리고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스마트폰 도입 이후 단말기 판매를 통한 이익뿐 아니라 케이스와 거치대 등 주변기기 시장도 열리면서 부가 수익의 창출 기회 역시 늘어난 점이 지적됐다. 또 한켠에서는 할인점 가입자를 기반으로 장차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로 나서기 위한 포석으로 보기도 한다.

이에 대해 이마트의 황종순 과장은 “휴대전화 매장은 계열사인 신세계I&C가 입점 수수료를 내고 ‘숍인숍’ 개념으로 들어오는 것으로 이마트가 직접 휴대전화 대리점 사업에 뛰어든 게 아니다.”라며 “철저하게 고객의 편의성 도모 차원에서 이뤄진 조치”라고 강조했다. 또 MVNO에 대해서는 현재로썬 그런 비전을 제시한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전국적으로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점포수가 늘어나고 시장 점유율이 확대됐다는 소식이 들려오는 터라 이마트의 이런 조치에 대해 이마트 내 입점한 소상인의 입지가 더욱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0-10-05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