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106대의 카메라가 찍어낸 증강현실 속 또다른 ‘리아킴’

[르포]106대의 카메라가 찍어낸 증강현실 속 또다른 ‘리아킴’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8-30 18:39
업데이트 2020-08-30 1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T, AR콘텐츠 제작 현장 가보니

안무가 리아킴이 지난 2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혼합현실제작소인 ‘점프 스튜디오’에서 오는 10월 공개할 증강현실(AR) 콘텐츠 속 다리를 확 찢는 동작을 점검해보고 있다. 이날 촬영에선 106대의 카메라가 360도로 리아킴을 담았다. 최대 초당 60프레임으로 촬영했기 때문에 실제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고화질 3차원(3D) 영상이 구현됐다.  SK텔레콤 제공
안무가 리아킴이 지난 2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혼합현실제작소인 ‘점프 스튜디오’에서 오는 10월 공개할 증강현실(AR) 콘텐츠 속 다리를 확 찢는 동작을 점검해보고 있다. 이날 촬영에선 106대의 카메라가 360도로 리아킴을 담았다. 최대 초당 60프레임으로 촬영했기 때문에 실제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고화질 3차원(3D) 영상이 구현됐다.
 SK텔레콤 제공
지난 2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SK텔레콤의 혼합현실 제작소 ‘점프스튜디오’. 유튜브 구독자가 2170만명에 달하는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를 이끄는 안무가 리아킴(본명 김혜랑)이 초록색 크로마키 앞에 나타났다. 은빛 머리에 푸른색 점프슈트를 입은 리아킴은 한참 스툴(등받이 없는 의자)의 위치를 조정한 뒤 “내가 연기가 좀 된다”며 그 위에 올라가 아슬아슬한 춤사위를 보여줬다. 현실에서는 1m도 채 안 될 높이였지만 오는 10월에 공개될 증강현실(AR) 영상에서는 리아킴이 고층 빌딩에 올라가 떨어질 듯 말 듯 아찔한 상황 속에서도 10여초간 춤을 추는 장면이 연출된다. 리아킴은 사방에 설치된 총 106개의 카메라 앞에서 “스툴 끝에 매달리는 느낌이 더 살아야 한다”거나 “방금은 연기가 아니라 진짜 떨어질 뻔했다”며 모니터에서 3차원(3D)으로 구현된 이미지를 확인하고 재촬영을 몇 번이나 반복한 뒤에야 “진짜 떨어질 뻔한 느낌이 살았다”며 웃었다.

SK텔레콤은 지난 4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가상·증강 현실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점프스튜디오를 50평 규모로 마련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는 가상·증강현실 산업 시장이 약 20조원 규모로 커지고 2023년까지는 연평균 77%의 고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SK텔레콤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이다. SK텔레콤은 스마트폰 카메라 촬영 화면 속에 아이돌그룹 ‘슈퍼주니어’의 최시원이 AR로 나타나 ‘손하트’를 하며 같이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콘텐츠를 이미 공개했고 스포츠선수, 안무가, 무형문화재 등 점프스튜디오에서 촬영한 콘텐츠들도 추가할 예정이다. 이날 리아킴이 촬영한 다섯 개 영상이 공개되면 이용자들이 AR 세상에서 리아킴과 함께 춤을 추는 등 ‘AR 놀이’가 가능하다.
 안무가 리아킴이 지난 2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혼합현실제작소인 ‘점프 스튜디오’ 안에서 3차원(3D) 영상으로 구현된 자신의 모습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에 공개될 이번 영상은 리아킴이 아찔한 건물 위에 올라가 떨어질 듯 말 듯 하게 춤을 추는 내용 등 5개의 콘텐츠로 구성됐다.  SK텔레콤 제공
 안무가 리아킴이 지난 2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혼합현실제작소인 ‘점프 스튜디오’ 안에서 3차원(3D) 영상으로 구현된 자신의 모습을 살펴보고 있다. 오는 10월에 공개될 이번 영상은 리아킴이 아찔한 건물 위에 올라가 떨어질 듯 말 듯 하게 춤을 추는 내용 등 5개의 콘텐츠로 구성됐다.
 SK텔레콤 제공
‘점프 스튜디오’의 초록색 벽면에는 106개의 카메라가 사방에 빼곡히 설치돼 있다. 각 카메라가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조각조각 모아 하나로 합쳐 3D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전에는 수작업을 통해 3~4개월 걸렸던 작업을 상당부분 자동화해 1~2주 만에 끝내도록 했다. 머리카락이나 피부의 표현 또한 실제와 유사하게 끌어올렸다. 초당 최대 60프레임으로 촬영해 실제 같은 움직임을 구현해냈다.

리아킴은 “코로나19 때문에 직접 만나 땀 흘리는 게 힘든 세상인데 앞으론 집에서 AR로 만나 춤을 배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승윤 SK텔레콤 5GX서비스개발담당 매니저는 “향후 AR 콘텐츠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기기까지 많이 보급되면 더 실감 나게 만끽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